기업의 사회책임경영(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을 강조하는 것으로, 오는 2009년 도입돼 2010년 시행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당수의 지역기업들은 이 같은 사실조차 모르고 있어, ISO 26000 시행에 따른 피해가 만만치않을 전망이다.
31일 경제단체와 지역기업 등에 따르면 국제표준 ISO 26000은 금융기관 투자와 국제입찰, 기업평가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환경인증인 ISO 14000이 환경장벽으로 작용했듯, ISO 26000이 CSR 장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ISO 26000은 크게 환경, 지배구조, 공정한 운영관행, 인권, 노동 관행, 소비자 이슈, 지역사회 참여 등 7가지 핵심 분야로 구성돼 표준화 작업이 진행된다. 원만한 노사관계, 인권과 환경보호, 지역사회에 대한 공헌 등에 소홀하면 기업 활동이 어려워질 수 있는 것이다.
사회공헌활동까지 염두에 둔 경영을 펼쳐야만 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기술과 제품력만으로 승부를 겨루던 시대가 이제는 사회구성원으로부터 좋은 기업이라는 평가를 받아야 살아남을 수 있을 전망이다.
ISO 26000가 국제 상거래 표준으로 자리 잡을 경우 무역장벽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강제 규정은 아니지만 각국이 공동으로 만든 지침으로, 기업의 국제입찰 심사 등에 적용될 가능성이 커 수출 기업엔 무역장벽이 하나 더 생기게 되는 셈이다.
한국타이어와 한라공조가 연간 10억 원 이상을 사회적 공헌활동에 내놓고, KT&G와 계룡건설 등이 별도의 재단을 설립해 사회에 환원하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이들 기업의 경우 현금이나 현물로 기부하던 전통적인 방식에서 탈피해 교육과 복지, 지역사회 기여, 공익마케팅 등 다양한 형태의 CSR을 선보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상당수의 지역기업들은 감당하기 쉽지 않다. ISO 26000의 요구 조건을 받아들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CSR을 위한 체계는커녕 그동안 사회 환원에 무관심했거나 인색했던 게 사실이다. 한마디로, 기업으로의 사회적 공헌활동이 전무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는 게 경제단체의 설명이다.
특히 ISO 26000의 개념조차 모르는 기업도 적지 않은 실정이다.
수출을 포함, 연매출 200억 원을 올리는 대화동의 제조업체 관계자는 “우리는 그런 거(ISO 26000) 잘 모른다. 수출 여건이 어려운 데 그런 것까지 신경 쓸 겨를이 없다”고 말했다.
경제단체 관계자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조직개편 등 ISO 26000 대비태세에 들어갔다”며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은 사실조차 모를 만큼 대외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고, 이는 기업 경영에 또 하나의 위기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윤희진 기자
◆용어설명
CSR : 기업이 투자자와 주주에 대한 경제적 책임이나 법적 책임을 지는 것에 그치지 않고 폭넓은 사회적 책임을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뜻을 담고 있는 용어. 기업의 경영방침이 윤리적인지, 제품 생산 과정에서 환경을 파괴하거나 인권을 유린하는 일이 없는지, 지역사회와 국가에 얼마만큼 공헌하고 있는지 등을 포괄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