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 없이 낮은 분양률로 일부 업체들은 고사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지만 이렇다할 대안이 없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19일 지역 건설 및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지난 2002∼2004년 행정수도 이전 추진과 관련, 대전 등지에서 인기를 모았던 주상복합이 2006년 후반부터는 급격한 하향곡선을 보이면서 지난해 최악의 분양 성적을 냈다.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상당수 단지가 분양률 10%를 간신히 넘나들면서 자금 압박에 따른 경영난을 겪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서울이나 수도권과 비교해 대전의 시장상황은 180도 다르기 때문에 서울 등지의 투기세력이 가세하지 않는 한 성공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서울의 경우 교통여건 편리와 단지조성 따른 주거환경이 마련돼 일반 아파트보다 고분양가에도 불구하고 인기를 끌고 있다.
게다가 서울과 지방의 부동산 시장상황이 달라 고가의 주상복합이 공급되더라도 수요층이 확보돼 3.3㎡당 3000만원이 넘는 물량도 대부분 순위 내 청약이 마감되는 것이다.
대전에서 주상복합이 인기를 끌던 지난 2002년과 2003년은 행정수도 이전 추진과 관련해 서울 등지의 투기세력이 대전과 충청권으로 몰렸고 여기에다 금리가 낮아 부동산으로 자금이 쏟아졌다.
당시에는 아파트 공급이 부족한 상태여서 주상복합으로 발길을 돌린 실수요자들도 상당수 있었다.
서구나 유성구 일대에서 분양한 주상복합은 나름대로 성공을 거뒀으며 유성구 도룡동 스마트시티는 고분양가 논란에도 불구하고 95% 이상의 분양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의 부동산 규제정책에 따라 시장상황이 급변하면서 투기세력이 밀물 빠지듯 밀려 나갔고 이후 분양에 나선 주상복합들은 고전을 면치 못했다.
지난해 분양한 중구의 A주상복합은 298가구가 공급됐지만 지난 1월 말 현재 283가구가 미분양으로 남아 있고 다른 B주상복합도 243가구 모집에 38가구만 주인을 찾았다.
유성구에서 공급된 3곳의 주상복합들도 대부분 비슷한 형편이다.
부동산업쳬 관계자는 “대전의 경우 단지 조성이 안돼 주거환경이 떨어지고 투자가치가 없는 상황에서 고분양가를 감당할 수요자들이 누가 있겠느냐”며 “서울 등지의 투기세력이 붐을 조성하지 않는 한 준공 후 미분양으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건설업체 관계자도 “대부분 건설업체들은 대전에서의 주상복합 건축에 대한 검토 자체를 기피하고 있다”며 “시장상황을 제대로 분석하지 못하고 뒤늦게 사업을 추진한 업체들만 미분양에 따른 고통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영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