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 만에 6000㎘ 유류 제거
<글 싣는 순서>
1. 일본덮친 검은 재앙
2. 기름 오염 재앙에 맞서 다시 일어난 일본
3. 기름 피해 이후 달라진 일본 방재정책
4. 기름 피해 전화위복으로 삼아야
5. 죄담회
2. 기름 오염 재앙에 맞서 다시 일어난 일본
검은 재앙을 걷어낸 진정한 주역은 자원봉사자들이었다. 일본 러시아 선박 나홋카호(1만3157t. 승조원 32명) 침몰 당시 지역사회 내에서 자원봉사에 대한 관심과 붐을 일으켜 전 국민의 자원봉사 참여를 이끌어낸 것도 정부가 아닌 주민단체였다. 이들은 나홋카호가 폭풍우를 만나 선체가 동강이 나는 바람에 쏟아진 6000㎘의 기름을 불과 3개월 만에 제거해 냈다.
이들이 주목받는 이유 중 하나가 전혀 예측하지 못한 사고에 정부가 속수무책이었을 때 이들 스스로가 자원봉사자 본부를 만들어 몰려드는 자원봉사 접수 및 업무분장, 구호 물품관리, 숙식 제공 등의 일들을 해냈다는 것이다. 나홋카호 선박 좌초 사건으로 인한 직간접 피해는 컸다. 나홋카호에서 유출된 중유는 후쿠이(福井)현뿐만 아니라 이시카와(石川) 아키타(秋田) 니가타(新潟) 효고(兵庫) 현 등 9개 현에 크고 작은 피해를 안겼다. 이 사고로 수산업 분야에서는 게, 새우, 오징어, 돌김, 전복 등 주요특산물 생산이 중단되는가 하면 오염 지역 인근에서서 생산된 수산물까지 판매량이 급감했다.
게다가 오염 지역 대부분이 국립관광단지로 지정 받은 곳이어서 관광업 및 유사업종의 간접피해가 클 수 밖에 없었다. 특히 온천지역이다 보니 사고 이후 2년 동안은 관광객들의 발길이 뚝 끊겼다. 뿐만 아니라 기름 오염 피해 지역에 전기를 공급하던 원자력발전소의 냉각수 취수구가 기름에 막혀 주민들이 극심한 불안에 시달려야만 했다.
그는 "일주일이 지나자 번진 기름은 해류를 타고 남쪽 해안 전역을 오염시키면서 어민은 물론 관광업 종사자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며 "결과적으로는 미쿠니 지역에서만 6일 동안 2228㎘의 기름을 운반했다"고 했다.
일본 전력노조운동 반도(友東.69) 상임이사도 "당시 수많은 자원봉사대가 밀려드는 기름덩어리와 사투를 벌였다"며 "해안도로를 따라 줄을 지어 이동하는 강력흡인차의 행렬은 전쟁터를 방불케 했다"고 회상했다.
그러면서 그는 "자원봉사들의 수작업과 기계력의 조화는 유출된 중유의 오염을 막는 초석이 됐다"며 "홋카이도(北海)부터 큐슈(九州)에서 봉사활동을 벌인 자원봉사자만 수백만 명 정도로 추정된다"고 했다.
지난 2000년 10월에 개최된 집행위원회(92 Fund)의 결과에 따르면 일본이 중유 유출 사고로 인해 2년 동안 입은 총 손해 산정액은 방제비용 95억엔(한화 950억원)을 포함해 284억7000만엔(한화 2800억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국제기금 보상한도액 231억6000만엔을 훌쩍 뛰어넘은 범위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