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대책위원회의 통합을 모색한 지난 12일 회의에서 일부 주민들은 군내에 구성된 대책위 중 서산수협 피해대책위원회와 비수산분야 피해대책위원회 등 비교적 규모가 큰 6개 대책위와 업종대표, 군의원, 지역대표 등 30명으로 구성된 발기인들의 대표성에 문제를 삼고 공개 회의 등을 주장하며 회의 개회를 무산시켰다.
하지만 군의회와 각 대책위 관계자들이 수차례 모여 장시간 회의를 여는 등 진통을 겪은 끝에 어렵게 마련된 발기인 회의장을 찾아 다른 단체들의 대표성을 문제삼아 공격하고 자신들의 입장만을 주장한 것은 무리한 요구라는 지적이다.
특히 완전한 복구와 피해배상, 주민들의 권익보호와 관광자원 회복 등을 논의하고 특별법 제정과 검찰수사의 부당성, 정부와 삼성중공업과의 투쟁에 한 목소리를 내기 위해 마련된 발기인 회의인 만큼 창립때까지 보완해가며 대책연합회가 구성될 수 있도록 협조했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날 회의에 참가한 한 대책위 관계자는 “수산, 비수산 등 서로 다른 대책위원회 대표들이 모여 대책연합회와 위원장 선임을 위한 회의인 만큼 회의장을 찾은 주민들이 회의가 진행되도록 도와줘야 했다”며 “상대방을 인정하지 않는 상황에서 어떻게 연대할 수 있느냐”고 말했다.
또 다른 참석자도 “지금은 뭉쳐서 싸워도 어려운 상태인데도 불구하고 주민들끼리 의견충돌을 일으키는 볼썽사나운 모습을 보여 유감”이라며 “어려울 때 일수록 뭉쳐야 산다”고 아쉬움을 표시했다.<특별취재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