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2= 지역의 한 제조업체 본부장은 대형마트의 진입 장벽은 너무 높다고 하소연 한다. 본사와 접촉을 시도한 끝에 물건을 판매할 수 있도록 허락을 받았지만, 막상 지역 마트에서 소비자들에게 호응도가 높은 제품을 우선 진열하는 통에 지역업체의 상품은 찾아볼 수 없다. 진열을 해줘야 판매도 가능하지만 아예 차단당해 지역 기업의 설자리가 사라져가고 있다.
시는 지난해 지역상품 판매율을 3% 이상 높일 것을 요구하는 등 대형마트에 강한 압박 정책을 펼쳤다. 분기별로 지역상품 판매 실적을 제출받는 한편, 목표량 이상으로 구매 할 것을 지도하고 나섰다.
하지만 지역의 기업들은 지역 대형마트에서 살아남기 위한 끊임없는 줄다리기를 하는가 하면 입점을 했더라도 대형마트의 횡포에 영업이 어려운 실정이다.
일부 대형마트들은 터무니 없는 가격으로 할인행사를 진행하면서, 중소기업에 손해부분을 떠넘기고 있어 소규모 중소기업들의 타격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대형 마트별로 경쟁을 하는 통에 한 마트에서 행사를 하면, 다른 마트에서도 행사를 요구하는 통에 손실부분이 커지는 등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형마트의 횡포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거래처를 끊길 수 있어 기업체들은 불만도 밝히지 못하는 상태다.
지역의 한 기업체 관계자는 “대형마트에서 행사를 할 수록 무조건 손해가 난다”며 “주로 지역의 영세기업들이 행사의 대상이 되고 있지만 그나마 납품을 거절당할까봐 울며 겨자먹기로 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체 관계자는 “대전시가 단순하게 지역상품 구매율을 따지기 보다는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역할을 해줬으면 한다”며 “업체의 입장을 대변해주고 중계자 역할을 하는 것이 지역상품 구매에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