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민들은 기름유출 여부와 관계없이 태안근해를 중심으로 한 서해안 대부분의 지역에서 조업이 중지되는 것과 관련해 태안군 남면과 안면도 등 일부 지역의 수산물 채취 등 조업여부와 서해산 수산물 소비촉진 방안에 대한 관계당국의 대책을 촉구했다.
이에 지난 22일 태안군청에서 해양수산부와 서해수산연구소, 태안군, 수협중앙회와 서산, 남면, 안면도수협과 어촌계장 등 관계자들이 모여 태안 연근해의 오염지역실태 및 수산물 안정성조사와 어업재개 방안에 대한 실무협의회를 가졌다.
이날 서해수산연구소 박승윤 연구관은 사고가 발생한 다음날인 지난해 12월 8일부터 태안 연근해 해역 및 횟집 유입수에서 주요 오염원인 유분과 PAHs(다환방향족탄화수소·원유에 들어있는 200여종의 벤젠화합물을 총칭, 이중 발암물질인 벤조피렌 등이 유해물질) 16종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모니터링 결과 태안해역 대부분 지역에서 유분은 우리나라 해역의 기준치인 10ppb 이하를 보였고 PAHs 역시 EU의 어류가이드라인인 2.0ng/g 보다 낮게 나타나는 등 안정화를 보이고 있으나 평상시 조사보다 높게 나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해양수산부 품질위생팀의 서해수산물 안정성 확보 대책과 수산물 검사원의 유류오염 안정성 조사를 통해 오염된 수산물의 유통을 막고 본격적인 조업과 수산물의 유통에 대비해 지속적인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특히 만리포 지역의 유분은 일일 변화가 크고 서해안의 외해 역시 평상시보다 높게 나타나는 등 아직까지 기름유출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고 수산물 오염에 대한 심리적 요인이 상존해 조업시기는 아직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수협관계자와 어민들은 “유류피해와 전혀 관계없이 오염지역이라서 유통되지 않는 서해산 수산물의 소비촉진과 돌돔, 우럭, 숭어 등 양식어류를 정부가 수매하고 조속한 시일 내에 조업재개 대책방안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양식 수산물 판매대책을 마련하고 서해산 수산물 소비 촉진을 위한 대대적인 홍보를 계획하고 있다”며 “계속된 방제작업과 자연풍화 등으로 허용 기준치 이하로 안정화되고 있으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수산물의 안정성이 확보될 때 어민들과 협의해 본격적인 조업을 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