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희 대전여민회 공동대표 |
여성계에서 돌이켜보면 2007년은 참 다사다난 했다. 제17대 대선과정에서 각 정당에서 여성정치인이 대권에 도전하는 등 많은 여성정치인이 활약을 하고, 당내 경선과정을 거치면서 중견 정치인으로 자리매김하는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기도 했다. 2007 남북정상회담에서는 여성교류 활성화, 모자보건·영유아 지원사업, 일본군 위안부 문제, 여성관련 법·제도 공동조사 연구 등 여성관련 의제가 공식적으로 논의되는 성과도 있었다. 주체적인 여성상에 대한 가치부여가 미흡했다는 논란이 있었지만 5만원권 화폐에 여성이 처음으로 등장하기도 했고, ‘가족관계등록법`이 시행되면서 남성(호주)중심으로 출생, 혼인, 사망 등 개인의 역사가 기록되고 관리되던 호적제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쾌거도 이루어졌다.
무엇보다 여성계가 이룬 가장 큰 성과는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이 미국, 네덜란드, 캐나다, 유럽 등지에서 통과되어 한·일 역사왜곡에 대한 문제제기가 국제사회에서 재점화 되고, 20만명의 아시아 여성위안부를 강제동원 했던 역사적 책임을 인정하고, 공식 사과와 보상을 촉구하게 된 일이다.
그러나 KTX 여승무원의 장기농성은 해결기미가 보이지 않고, 380명의 전원해고를 가져온 이랜드 매장의 사태는 여성계에서 불매운동을 펼치면서 비정규직 여성의 문제를 사회 쟁점화 시키기는 했지만 원만한 해결을 끌어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여성문제를 보편적 인권의 문제로 정의하고 여성에 대한 차별, 폭력 철폐활동을 펼치면서 우리사회 내에 평등, 평화를 보편적으로 확장시켜 내면서 민주주의를 실질화하고 내면화 시키는 역할을 담당해왔던 ‘여성운동`은 운동의 분화·발전을 겪으면서 새로운 도전과 한계에 봉착하며 전환기적 위기를 맞고 있다.
경쟁논리, 개발위주의 정책추진이 가져올 심각한 폐해가 여성들의 삶에 어떻게 투영될지, 민주주의 체제 내에서 ‘젠더주류화`를 실현하기위한 법 제·개정운동과 정책개입 활동을 포함한 정치참여전략을 어떻게 추진할 것인지 함께 고민하고 힘을 모으는 지혜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차이와 경계를 넘어 소통하고 연대하는 ‘횡단의 정치학`이 힘을 발휘해야 할 때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