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요금까지 ↑… 저성장 고물가 우려
국제유가가 사상 처음으로 배럴당 100달러까지 치솟았다. 이로 인해 국내 경제는 물론, 소비자 물가에 적신호가 켜졌다.
일부 전문가들은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이 함께 나타나는 악성 경기침체인 스태그플래이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크게 우려했다.
2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중질유(WTI)는 장중 한때 전일대비 4.2% 급등한 배럴당 100달러를 기록했다.
중질유가 100달러를 넘어선 것은 1983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거래가 시작된 이래 처음이다.
유가 급등은 국내외 물가와 금리를 끌어 올려, 서민들의 생활고를 가중시킴은 물론, 기업들의 수출 채산성까지 악화시킨다는 점에서 소비자와 산업계 전반에 비상이 걸렸다.
당장 직격탄을 맞는 것은 서민들. 잠시 주춤하던 기름값과 소비자 물가가 뜀박질 치면서 당장 가계부담으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1600원대와 1400원대의 휘발유와 경유값이 다시 뛰어 차량을 이용 생계를 유지해야 하는 서민들은 기름값 부담이 눈덩이처럼 늘 수 밖에 없다.
국제유가 급등으로 각종 공공요금은 물론, 음식료값 등 모든 물가가 덩달아 뛰어 소비 둔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실제 통상 유가가 10% 오르면 소비는 1.62%포인트, 산업생산은 0.81%포인트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원자재 수입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석유화학, 섬유, 식음료, 물류 업계는 직격탄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대응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직접적인 영향이 크게 받지 않는 전자나 자동차 등 수출주력 업종도 경쟁력 약화와 고유가에 따른 소비위축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물류업계의 하청업자 격인 지입차주의 경우 유류비 증가를 소속 회사로부터 보전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고유가의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고유가로 인한 가장 큰 피해를 입는 곳은 대기업보다 중소제조업체다.
중소기업은 사실상 자체적으로 고유가 대책을 세워 실행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대기업들이 유가상승에 따른 원가부담을 하청업체나 원재료공급업체 등에 떠넘기고 있어 중소기업들의 부담은 더 클 수 밖에 없다. 또 국제유가 급등으로 ‘이명박 정부`가 목표하고 있는 7% 경제성장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이미 소비자 물가는 지난해 12월 전년 같은 기간보다 3.6% 상승해 당초 한국은행의 중기 물가 목표(2.5~3.5%)를 넘어섰다. 고유가로 지난해 12월 무역수지는 57개월 만에 적자로 반전되기도 했다.
한 중소기업 대표는 “유가 100달러시대가 계속된다면 중소업체로선 살아갈 수가 없다”며 “경기침체에다 고유가까지 겹쳐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막막하다”고 말했다. /백운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