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해경 방제대책본부에 따르면 사고해역에서 120여㎞ 떨어진 군산시 연도 부근까지 밀려들었던 ‘타르 덩어리`가 조류를 타고 십이동 파도 부근까지 10여㎞ 더 남하하는 등 복구작업의 장기화가 불가피하다.
이에 따라 오염 피해 원인 제공자인 삼성과 현대 측은 기존의 미온적인 대처에서 벗어나 별도의 복구체계를 구축하고, 복구가 상대적으로 더딘 피해지역에 계열사 전 직원을 투입하는 등의 적극적인 노력을 펼쳐야 한다는 지적이다.
실제 지난 1995년 시프린스호가 좌초해 기름 피해가 확산되자 LG그룹은 오염이 가장 심했던 여수시 남면 소리도 덕포해안을 제외한 총 128곳의 피해 우려지역에서 지속적인 해안 방제작업을 주관했다.
기름 오염이 심한 덕포해안에 대해서는 사고가 발생한 95년부터 2001년까지 꾸준한 복구 작업을 펼쳤다.뿐만 아니라 오염 범위가 갈수록 확대되자 임직원으로 구성된 별도의 지휘 감독 체계를 구성해 여수, 남해, 욕지, 거제, 통영 및 부산, 울산지역에서 오염 최소화에 총력을 기울인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녹색연합 등 51개 시민·환경단체는 이날 서울 광화문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염 피해 가해자인 삼성과 현대측은 조속히 국민 앞에 공식 사과하고 배상을 비롯한 피해 복구 대책을 적극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또 전날에는 태안군 소원면 만리포 주민대책위원회가 성명을 내고 “삼성은 즉각 피해주민에 대한 배상을 약속하고 피해지역의 항구적 복구계획과 향후 대처방안을 제시하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태안군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삼성과 현대 측은 ‘국민에게 사과는 커녕 피해 배상은 보험사에 있다`며 서로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면 또 다른 피해 주민들과 함께 불매운동에 돌입하겠다”고 말했다.<특별취재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