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사가 1군 업체가 아닌 지역 업체들의 어려움은 더욱 심각하다. 일부 건설사들은 공동주택 부지 대금을 완납하지 못해 사채시장이나 `내부 거래`를 통해 다른 업체에 넘기려는 움직임 까지 일고 있다.
19일 지역 건설업계에 따르면 올들어 아파트의 미분양 물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일부 중견업체들이 속속 쓰러지자 제 1금융권은 물론 2금융권에서 조차 PF 대출을 꺼리고 있다.
실제 대전지역의 대규모 공동주택 용지를 매입한 지역 중견업체 A사는 PF 대출을 통해 땅 매입을 자신하며 비교적 높은 가격에 아파트 용지를 샀다가 낭패를 겪을 뻔 했다.
주거래 은행에서 현금 확보 및 신용도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지 못해 대출이 어렵다는 통보를 받고 결국 다른 건설사의 `도움`으로 대금을 납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지역업체인 B사도 지난달 용지 매입비를 완불해야 하나 대출 과정에 문제가 생겨 보름 가량 연체를 해야만 했다. 이 업체는 수억원의 연체 이자를 내야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 금융기관들 사이에서 건설업체 부도 여파로 큰 금액에 대해선 대출을 극히 꺼려해 이를 설득하느라 힘들었다"고 말했다.
지역의 C사도 아파트 용지를 매입한 뒤, 이 땅을 담보로 PF대출을 신청했으나 자금이 나오지 않아 여러 채널을 통해 자금을 모으고 있다. 만약 자금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계약금을 날리고 건설시장에서 신용도를 크게 잃을 처지에 놓였다.
이는 시중은행들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한 뒤 건설사가 부도를 내면 그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을 수 밖에 없어 확실한 1군 업체가 아니면 PF 신청 및 심사 자체를 기피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건설업체 고위 간부는 "지난해 이전까지 확실한 담보 물건이 있으면 금융기관이 대출을 해줬으나 이제는 엄격한 심사를 거치게 된다"며 "까다로운 대출 심사로 예상했던 기일보다 늦게 대출금이 나와 괜한 연체 비용까지 지불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시행사의 관계자도 "노른자위 부지를 매입하면 보통 시공사들의 관심도가 높아 성사 확률이 높았으나 요즘은 상황이 달라졌다"며 "시행사들이 1군 업체들에게 시공을 맡아 달라고 간청하는 일이 더 많아졌다 "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