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문숙 문화체육팀 |
고급문화로 대변되는 외국 클래식 초청 공연이 많다 보니 당연히 지역 공연계는 소외감을 느끼게 됐다.
이때문에 시민 혈세로 운영되는 전당이 지역 공연예술의 생산자 역할보다 특정 계층을 위한 공연장으로 ‘변질`된다는 눈총을 받기도 했다. 지역 공연계에서는 4년 동안 전당에서 연 80억 예산으로 초청공연에만 집중한 나머지 대전만의 특색있는 작품하나 자체 제작하지 못한 것을 가장 아쉬운 점으로 꼽고 있다. 물론 반대 시각에선 지역주의만 내세워 전당을 바라보는 것이 대전 문화 발전을 저해 할 수 도 있다는 우려감도 크다.
이런 논란의 한 복판에서 전당의 초대 관장인 조석준 씨가 있었다.
최근 재계약 불가 방침을 세운 대전시의 내부 결정에 당사자는 물론 전당 측 인사들도 적잖이 당황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조 관장의 재계약여부를 두고 심도있게 장단점을 검토, 재계약을 하지 않는 방향이 우세했다는 것이 시 관계자의 설명이었다. 부정적 평가가 집중 부각됐다는 것이 이번 재계약 불가 결정의 핵심으로 해석된다.
4년동안 전당의 공연 기획 및 유치권을 쥐고 있는 조 관장에게 대전시가 책임을 물은 것이다. 많은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친 흔적도 있다. 특히 대전시의회는 절대 불가 입장을 대전시에 전달하기도 했다.
이제 ‘공`은 대전시로 넘어갔다. 시는 지방과 중앙 공연문화를 하나로 잘 아우르는 ‘인재`를 영입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너무 서두를 것이 아니라 시간을 갖고 좋은 사람을 뽑는 대전시의 혜안이 필요할 때다. 더불어 조 관장 거취 문제를 빠른 시일내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이래야 지역 공연계의 ‘혼돈`이 빨리 가라앉기 때문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