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산=김기태 기자 |
처음에는 광덕산 인근 주민들로 시작된 납골당저지 운동이 지금은 YMCA 및 민주노총, 농민회 등 21개 단체가 연합해 시를 압박하고 있다. 이들은 시가 여론수렴 과정 없이 납골당 장소를 변경한 것과 기존의 공동묘지 등을 재활용하는 방안도 있는데 구지 환경을 훼손해 가면서 납골당을 지어야 하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반면 시는 도시가 발전되면 공동묘지도 없어지기 때문에 공설납골당은 꼭 필요한 시설이라고 대응하고 있다. 또한 납골당이 계획된 부지는 최적의 위치로 이번에 포기하면 앞으로 납골당 설치는 불가능하다며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다. 이처럼 납골당 설치는 환경보전과 개발가치의 틈바구니에 끼어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한 채 지루한 소모전이 이어지고 있다.
이 시점에서 어느 쪽이 옳고 그름을 따지는 것은 사태를 해결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현재 시민단체가 장묘문화 개선과 납골당 설치 해법을 찾기 위해 토론회를 개최하는 것 처럼 사업 주체인 아산시도 주민들과 시민단체의 의구심을 충분히 풀어줄 수 있도록 적극적인 대화를 시도해야 한다.
또한 반대론자들도 행정력의 낭비와 시민들의 불편을 초래하는 실력행사는 자재해야한다. 강희복 시장이 정치적 타격이 있을 수 있는 혐오시설을 과감히 자신의 고향으로 이전 계획을 세운 것처럼 이 시점에서는 찬,반론자들의 냉정한 결단력이 필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