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정보기술(IT) 업종과 대기업의 생산성 증가율은 6년 만에 처음으로 비(非) IT 업종과 중소기업보다 낮았다.
산업자원부와 한국생산성본부가 18일 내놓은 1/4분기 제조업 노동생산성 동향 분석 결과, 제조업 분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5.8%로 전분기(12.7%)의 절반 이하로 추락했다. 이는 2005년 2/4분기(4.2%)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노동생산성의 급락은 산업생산의 둔화가 주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1/4분기 민간소비(4.1%)의 증가와 설비투자(10.8%)와 수출(10.8%)의 호조에도 불구, 제조업 산출량의 작년 동기대비 증가율이 3.4%에 그쳤기 때문이라는 게 산자부의 설명이다. 전자부품, 영상·음향·통신장비 부문 생산성 증가율이 3.1%에 머물렀고 자동차, 트레일러의 산출량 증가율은 0.2%에 그쳐 산출량 둔화를 주도했다.
분야별 노동생산성에서도 IT업종의 생산성 증가율이 3.1%로 비IT부문(6.0%)의 절반에 그쳤고, 대기업의 노동생산성 증가율도 4.1%로, 중소기업(4.8%)에 뒤졌다. 지난 2001년 1/4분기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중화학공업(5.0%)의 생산성 증가율도 2005년 2/4분기 이후 처음으로 경공업(5.1%)에 추월당했다.
1/4분기 제조업 노동투입량은 근로자 수와 근로시간이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각각 0.2%, 2.0%씩 줄어들면서 2.2% 감소했지만, 단위노동비용은 (시간당 명목임금/노동생산성)은 2.0% 늘어났다.
산자부는 “단위노동비용의 상승은 시간당 명목임금 상승률이 7.8%로, 노동생산성 증가율 5.8%를 웃돈 데 기인한다.”라며 “제조업 단위노동비용이 지난해 4/4분기 2.4% 늘어난 데 이어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용어설명
-노동생산성지수 : 산출량지수/노동투입량지수
-산출량지수 : 제조업 산업생산지수(통계청자료)
-노동투입량지수 : 근로자수×근로시간(노동부자료)을 지수화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