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건설사는 분양률에 대한 걱정 때문에 당초 계획했던 분양시기를 연기하는 등 주택건설시장의 위축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15일 주택건설업계에 따르면 대전시 유성구 A지역에 600여 가구를 분양하려던 모 건설사는 택지개발을 마쳤지만 사업성이 떨어질 것을 우려, 대형건설사에 택지를 통째로 매각했다.
대전시 대덕구 B지역에 대규모단지의 아파트를 분양하려던 건설사도 올해 말 분양을 계획했지만 분양률 악화 우려 때문에 내년 초로 분양시기를 연기했다.
대전시 동구 C지역에서 아파트를 건축하려던 업체도 택지개발을 추진하다가 자금사정이 여의치 않아 사업 자체를 대형 건설사에 매각했다.
이처럼 중소 건설사들이 택지개발을 마쳤거나 추진중에 매각하는 것은 오는 9월 분양가 상한제가 시행될 경우 분양가 책정 때 택지구입비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해 사업성이 악화될 것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지난 5월에 마련된 주택법 시행령은 지난 4월 20일 이후 매입한 토지는 감정평가액에 가산비를 더한 `감정평가방식`으로 산정한 금액의 최고 120%까지만 택지비로 인정하도록 돼 있기 때문이다.
또 비싸게 구입한 택지로 무리하게 주택사업을 추진했다가는 사업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고 미분양까지 겹칠 경우 경영 전반에 엄청난 타격을 피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실제로 중견 건설업체인 (주)신일이 부도난 것도 무리한 사업추진에 따른 분양률 저조로 자금압박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주택건설업에 몰두하던 업체들 중 일부는 해외로 눈을 돌려 레저사업에 손을 뻗치고 있다.
또 다른 업체는 주택사업보다 부지를 매입해택지개발을 마친 뒤 대형건설업체에 되파는 `땅장사`로 전환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대한주택건설협회 대전·충남도회 정성욱 회장은 "주택사업을 포기할 경우 그동안 쌓아온 원가절감이나 시공능력 등의 노하우가 사라질 수 있고 나중에는 외지업체에 밀려 시장을 잠식 당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부동산 경기 침체가 주택건설업계 뿐 아니라 산업 전반에 막대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