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형펀드 비중을 고려하라
중장기 금리상승여파를 감안하면 우선 채권형펀드 비중부터 줄여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이미 채권형 펀드의 상당수는 연초이후 수익률이 1%에도 못 미칠 정도로 부진하면서 투자자들의 기대를 저버린 상태다. 하지만 안정성과 주식형펀드와의 분산투자 효과를 노린 이들은 여전히 채권펀드 투자를 유지하고 있다.선진시장에 비해 아직까지 금리차이를 노릴 수 있는 여지가 많기 때문이다.
▲주식형펀드 안정성 더 높여라
금리 상승에 따른 증시 변동폭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금리가 오른다는 것은 인플레 요인이 발생할 정도로 경기회복세가 뚜렷하다는 의미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시중 유동성 감소로 인한 증시침체 요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특히 그간 과도하게 오른 지수를 감안하면 금리상승을 계기로 증시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높다.
그동안 공격적인 투자성향의 펀드로 고수익을 거둔 투자자라면 좀더 안정적인 성향의 펀드를 통해 변동성에 대비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펀드의 변동성과 안정성을 평가하는 지수로는 ‘베타계수`와 ‘샤프지수`가 대표적으로 꼽히는데 이 가운데 베타계수는 지수상승률과 펀드수익률 연관관계를 나타낸 지표다. 즉 베타계수가 1이면 펀드가 지수상승세를 그대로 쫓아갔다는 의미이고 1보다 작으면 시장과 다소 무관하게 움직였다는 뜻이다. 베타가 낮을수록 변동성은 적은 편이라고 보면 된다.
제로인 집계(6월26일기준)에 따르면 현재 출시된 주식 성장형펀드(주식투자비중 70%이상) 가운데 ‘한국국민의힘주식재간접K- 1`, ‘유리스몰뷰티주식C`, ‘한국밸류10년투자주식1`등이 베타계수가 낮은 펀드로 꼽히고 있다.
샤프지수는 주식 등 위험자산을 운용해 거둔 수익을 표준편차로 나눈 값이다. 쉽게 말해 한번 위험을 감수할 때 얼마나 수익을 거두었느냐는 것을 뜻하는데 샤프지수가 높을수록 안정성이 큰 펀드로 꼽힌다. ‘한국밸류10년투자주식1`은 샤프지수도 높은 펀드로 꼽히고 있고 이밖에도 ‘동양중소형고배당주식1`, ‘신영밸류고배당주식1C1`등이 상대적으로 안정성 높은 펀드로 평가되고 있다.
▲리츠펀드도 꼼꼼히 따져보자
금리 상승이 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펀드 가운데 하나가 리츠펀드다. 대출금리 상승으로 부동산 투자기업의 자금조달 비용을 늘려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한편, 예금금리 상승은 배당수익의 장점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그러나 단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주식전문가들은 금리상승의 요인인 물가상승에는 부동산 임대료 상승비중이 꽤 높다고 보고 그만큼 리츠수익률도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현재 리츠펀드들은 글로벌 및 일본리츠 대부분의 단기수익률이 저조한 상태다. 특히 7월 이후 일본의 정책금리 인상이 가시화될 경우 미칠 여파는 더 커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전문가들은 상담을 통해 자신이 가입한 리츠펀드가 금리상승으로 인한 비용증가분과 임대료 상승에 따른 수익성 증가 가운데 어느 쪽의 효과가 더 클지 점검해보라고 조언한다.
▲6개월마다 자신의 펀드 점검하라
펀드투자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최소한 6개월마다 한번씩 투자한 펀드의 포트폴리오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박현철 메리츠증권 펀드애널리스트는 하반기 펀드 투자전략 보고서에서 “펀드투자를 올해초 시작했다면 현재 시점에서, 최근에 투자를 시작했다면 4분기쯤 모니터링과 포트폴리오 조정 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시했다.
그는 “펀드는 장기투자상품이기 때문에 시장 상황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보다 인내심을 가지고 장기투자하는 것이 올바른 투자법”이라며 “그러나 투자 포트폴리오 가운데 운용성과가 부진한 펀드를 찾아내고 부진한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