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달 말이나 다음달께 추가 공급이 예정돼 있어 미분양 물량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 4월말 현재 대전지역의 미분양 아파트 물량은 총 1130가구에 달한다. 지난 3월말 1166가구에 비해 다소 줄어든 수치지만 좀처럼 미분양 물량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12월말 791가구이던 것이 지난 1월 984가구, 2월 934가구에서 3월 들어 1000가구를 넘어선 것이다.
업계 특성상 미분양 물량을 축소해서 발표하는 것이 관례여서 실제 수치는 더욱 높을 것이란게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견해다.
이달 말께 중구 문화동 새서울호텔 자리에 들어서는 하우스토리가 243가구의 분양을 시작할 예정인데다 오는 7∼8월께에는 2200여 가구의 관저 4지구도 분양에 나설 계획이어서 설상가상이다.
부동산업체 관계자는 "지난해 말부터 적체되기 시작한 미분양 물량이 좀처럼 빠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오는 10월 분양 예정인 서남부 9블록 아파트의 분양률도 결코 낙관할 수 없을 것"이라고 조심스런 관측을 내놨다.
이에 따라 대전지역이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되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는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정부에서 투기과열지구로 묶어 놨지만 정작 투기는 커녕 거래 조차 실종됐기 때문이다.
투기과열지구의 당초 취지도 무색해지고 있는 것이다.
실수요자들이 오는 9월 분양가 상한제 시행 등을 앞두고 분양가 하락 기대 심리에 따른 관망세를 유지하는 것도 미분양 증가에 한 몫하고 있다.
이처럼 미분양 물량이 증가함에 따라 자금력이 약한 중소형 건설사들은 심각한 자금 압박이 불가피하다.
악화된 시장 환경을 감안할 때 미분양 물량 증가가 경영 악화로 이어질 수도 있어 지역의 중소형 주택건설사들로서는 올해가 향후 시장 장악력 회복의 주요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지역 건설사 관계자는 "미분양 물량이 쌓이면 자금력이 약한 지역 업체들은 상당한 부담을 떠안게 된다"며 "현재 상황이 지역 업체들로서는 고난의 시기"라고 말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