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점-시장간 상호협력 파트너십 구축
글싣는 순서
1. 자금 역외 유출
2. 현지법인화 ‘요원’
3. 지역경제 상생방안은
4 전문가 의견
4 전문가 의견
대형유통업체가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역사회와 공생하기 위해서는 지역에서 얻은 이익을 지역에 환원할 수 있는 구조적 배경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대한 방법론으로는 현지법인화, 지역상품 구매, 중소유통업체와 상생협력방안 구성, 지역 공익사업 참여 등이 제시됐다.
이와 함께 대형유통업체를 관리·감독해야 하는 지자체의 역할이 강조됐다.
이숙자 대전주부교실 사무국장은 “현지법인화는 소비자와 지역사회에 적정 이윤을 실현하고 지역 밀착경영을 통해 상호번영의 길을 모색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된다”며 “이를 위해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나서야 한다”고 역설했다.
송행선 전국시장상인연합회장은 “대형유통업체와 소상인들이 공생하기 위해서는 정부나 지자체에서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대형유통업체의 판매 품목을 다소 제한함으로써 재래시장도 살 수 있게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광진 대전경실련 사무처장 역시 지자체의 역할을 부각했다. 이 처장은 “대형자본을 바탕으로 한 유통업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공정거래위원회, 지자체 등이 관리·감독을 철저히 해 불공정거래 행위를 근절시켜 올바른 유통구조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형유통업체의 변화와 함께 중소상인들의 마인드 변화, 체질개선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공통된 의견 중 하나다. ‘내 편한 방식`이 아닌 ‘고객이 편한 방식`으로 장사의 방법을 바꿔야 한다는 것.
김남면 대전보건대 디지털마케팅과 교수는 “재래시장은 전반적으로 유리한 입지에도 불구하고 경영능력 부족과 서비스 부재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며 “혁신적인 홍보와 지속적인 이벤트, 친절 마케팅 등을 통해 보다 높은 질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광진 사무처장은 “대형유통업체들은 급변하는 소비자의 패턴에 맞춰 영업 방식을 바꾸고 있지만 재래시장은 여전히 구태의연한 영업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이제는 하드웨어 지원이 아닌 소프트웨어에 집중해야 할 때”라고 꼬집었다.
대형유통업체와 재래시장이 공존한 지역 중 상생이 가능한 지역을 성공모델로 육성하자는 구체적인 의견도 제시됐다.
김남면 교수는 “재래시장은 대형유통업체의 장점을 벤치마킹하는 등 대형유통업체는 소상인에게 경영법을 전수해 재래시장의 경쟁력 확보를 도와주는 상생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상호 균형발전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남동 대전소비자시민모임 회장 역시 “롯데백화점과 인근 한민시장의 경우 각각의 경쟁력을 살릴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이는 만큼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면 성공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