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석우 시청팀 기자 |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위원회는 산내학살사건과 함께 폭격 사건에 대해서도 진상규명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나는 올해 대전역 및 중앙로 폭격사건과 지난해 산내학살사건을 집중 취재한 소회를 밝히고자 한다.
우선 ‘객관적 자료` 부재에 대한 아쉬움이다. 이는 그 동안 역사의 진실을 모른 체했던 우리의 모습을 방증하는 것으로 많은 부분을 증언에 의존해야 함은 큰 부담이 아닐 수 없었다.
폐쇄적인 사회 분위기도 걸림돌이었다. 일각에서는 ‘경제도 어려운데 굳이 좋지도 않은 옛날 얘기를 들춰내서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고 지적하기도 했다. 언급 자체를 꺼리는 이도 있었다.
권한이 없음을 되풀이해 강조하는 대전시의 모습에서 발뺌이나 떠넘기기의 인상을 지울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전쟁 이 후 연좌제를 비롯해 억압된 사회상황을 경험한 그들의 삶과 현 정치상황을 돌이켜볼 때 이해 못 할 일은 아니다. 하지만 같은 논리로 앞으로도 먹고 살만한 때는 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80~90대에 이른 생존자들이 하루하루 죽음의 문턱으로 다가가는 것도 마음을 조급하게 만드는 원인이었다.
폭격 당시 피해가 컸다는 성남동 굴다리에서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은 주민이 있음을 알고 서둘러 찾아간 곳에서 필자는 그가 2~3년전에 돌아갔다는 말을 들어야만 했다.
제대로 된 역사를 밝혀야 하는 이유는 또 있다.
시신을 찾지 못한 많은 사람들이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그저 ‘전쟁통`에 죽었겠거니 미루어 짐작할 뿐이다.
대전역에서 희생당한 민간인이 적게는 5000명에서 많게는 1만명이 넘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당시 인구 12만명을 감안하면 대전 토박이 대부분이 이와 같은 처지가 아닐까한다.
할아버지의 죽음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필자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개개인의 죽음을 일일이 밝혀내는 데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전쟁의 참상과 아픔을 객관화할 필요는 있다.
제대로 된 ‘뿌리`를 후손에게 알려주어야 하는 당위가 먹고 살기도 힘든 판에 60여년이나 지난 아픈 기억을 새삼스레 되짚어야 하는 이유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