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희진 경제일반팀 기자 |
수소문해보니, 대전시는 물론 지역 상인과 사회단체까지 참여한 행사에 향토기업이 아니라 본사를 서울에 둔 업체가 주축이 됐다는 게 주 이유다.
내막은 이렇다. 지난 20일 대전시 기자브리핑실에서는 한 협약식이 있었다. 재래시장 살리기를 내걸며 대전상인연합회와 바르게살기운동 대전시협의회가 4개의 기업과 4억 원이 넘는 경품 대잔치 협약을 맺는 행사였다. 4개 기업 중 한 곳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본사가 서울에 있는 대기업들이다. 여기까지는 별문제 없었다.
문제는 대기업 중 한 곳이 A 사장의 회사와 경쟁관계라는 것이다. 지역 재래시장 살리기 행사에 향토기업이 아닌 외지기업이 참여했다는 이유 때문에 협약식 며칠 전부터 이 회사에는 긴장감이 감돌았다. 회사 관계자는 “성격 자체로 보면 당연히 우리가 참여해야 하는 행사”라며 “정보파악이 늦어 혼이 났다.”라고 말했다.
사장의 호통에 직원들이 부랴부랴 알아본 결과, 경쟁업체가 참여 기업과 함께 기획한 후 상인연합회에 제안했고, 이 소식을 접한 바르게살기협의회가 참여의사를 타진해 성사된 것이다.
경쟁업체 관계자는 “재래시장이 어렵다는 언론보도가 자주 등장해 재래시장 살리기에 동참하면 회사에도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다.”라고 말했다.
A 사장이 화난 이유는 또 있었다. A 사장이 협약식 사실을 안 것은 지난 17일, 이미 모든 준비가 완료된 상태였다. 바르게살기협의회가 참여한다는 사실을, 협의회 부회장인 A 사장이 전혀 몰랐던 것이다.
불똥은 대전시에도 튀었다. 행사 포스터에 It`s Daejeon 브랜드를 사용하게 했다는 등의 이유로 항의성 전화를 받은 것이다. 시 관계자는 “경쟁하는데, 이렇게 되면 자기들이 어려워진다고 하소연했다.”라고 말했다.
기업의 이윤 추구는 당연하다. 재래시장 살리자는 데, 향토기업이니 외지기업이니 따진다면 과연 상인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궁금하다. 이윤 추구방법을 사회공헌도와 연계하는 것도 기획력이 아닐까.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