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잉유동성과 자산시장의 거품을 잡으려고 구사한 통화당국의 긴축정책이 중소기업에게는 잇따른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하나은행의 CD연동 공장담보 중기대출금리가 지난해 10월말 연 6.46%에서 1월22일 기준 6.85%로 3개월여만에 0.39%포인트 늘어나는 등 국민, 우리, 신한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의 중소기업 대출금리가 0.37∼0.40%포인트 급등했다. 10억원의 대출을 받는 중소기업의 경우 석달여만에 연 이자부담이 400만원 늘어나게 된 셈이다.
대출금리가 짧은 기간에 급등한 원인으로 지난해 말 한국은행의 지준율 인상 및 총액대출한도축소 등 통화긴축책이 꼽히고 있다. 특히 지준율 인상으로 인해 은행들이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금융채 및 CD발행을 급격히 늘려 시장금리를 올리고 그만큼 중기대출금리가 급등했다는 것이다.
문제는 외환시장 불안 및 경기 하강으로 중소기업들이 위기에 내몰린 상황에서 이자부담이라는 또 다른 악재를 만나게 됐다는 점이다. 원, 달러 환율은 지난해 10월 초 960원대 중반에서 930원대까지 밀려있으며 수출기업에 좀 더 민감한 원, 엔 환율도 9년여만에 최저치를 기록중이다.
거래선을 잃지 않으려고 출혈을 감수하면서까지 수출한 중소기업들이 많으며, 일부 대기업들이 하청기업인 중소기업들에게 달러로 대금을 결제하면서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환율 부담이 가중될 수 있는 것이다.
경기회복세가 더딜 것으로 예상되는 올해 상반기에 환율 등 각종 현안이 산적한 가운데 대출금리가 오르고 대출공급액은 줄어들면서 중기들의 채무부담 능력이 떨어지는 등 자금난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환율과 경기 리스크만으로도 중소기업이 어려운 환경에 처해있는데, 대출금리까지 올라 부담”이라며 “중소기업들을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