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한국은행과 은행권에 따르면 작년 11월말 현재 예금은행의 정기예금 평균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4.43%로 6월말에 비해 0.06% 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반면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는 5.69%로 0.21%포인트 상승했다. 작년 하반기 들어 5개월간 주택대출금리 인상폭이 정기예금금리 인상폭에 비해 3.5배나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시중은행들은 이후로도 정기예금금리를 유지한 채 주택대출금리를 지속적 올리고 있어 예금·대출금리간 인상폭 차이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은행은 이번주 주택대출금리를 지난주보다 0.06%포인트 높인 연 6.05~7.05%로 적용키로 했다. 대출 최저금리가 작년 6월말에 비해 0.69% 포인트 급등했으나 1년제 정기예금의 최고금리는 현재 4.65%로 0.10% 포인트 높아지는 데 그쳤다. 주택대출 최저금리 인상폭이 정기예금 최고금리 인상폭의 6.9배에 달하고 있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은 22일 주택대출 금리를 5.84~7.14%와 5.94~7.04%로 각 0.5%포인트씩 올리기로 했다. 하나은행도 6.14~6.84%로 0.02%포인트 높이기로 했다.
하지만 정기예금금리의 경우 우리은행이 4.6%,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이 4.8%로 작년 6월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주택대출금리 인상률이 정기예금 인상률의 1.8~2.9배에 달하고 있다.
외환은행은 정기예금 금리를 4.45%로 작년 6월말에 비해 0.5%포인트 낮췄으나 주택대출 금리는 5.78~6.78%로 같은기간 0.08%포인트 높였다.
이에따라 은행에서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은 서민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그럼에도 지난해 무리한 주택대출 확대로 비판을 받았던 은행들은 오히려 대출금리 인상을 통해 수익을 늘리고 있어 눈총을 사고 있다.
국민은행에서 1년 전에 집을 담보로 잡히고 1억원을 빌린 개인은 대출 최고금리가 1년전에 비해 1%포인트 가량 상승했기 때문에 많게는 연간 100만원의 이자를 더 부담해야 된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출혈경쟁으로 부동산 거품을 부추긴 책임이 있는 은행들이 금리 인상으로 앉아서 돈을 벌고 있는 형편”이라며 “지난해 8월 콜금리 인상도 불구하고 예금금리 인상에 인색한 것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은행들은 한은의 지급준비율 인상 여파로 비용이 늘어난 데다 추가 자금 마련을 위한 양도성예금증서(CD) 발행 증가로 시장금리가 높아진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한은의 지준율 인상으로 비용이 증가했기 때문에 예금금리를 올리기 어려운 실정”이라며 “대출금리 상승 역시 추가 지준 적립을 위해 CD로 자금을 확보하며 시장금리가 상승한 데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