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아파트 원가 공개, 분양가 상한제, 청약가점제 시행 등 부동산 정책이 대폭 바뀜에 따라 업계도 무작정 반대 입장을 고수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건설업계는 일단 소비자가 내년까지 주택 구매를 유보할 것인지, 마지막 고품질 아파트 구매에 나설 것인지에 대한 시장 모니터링에 착수할 예정이다. 부동산 시장에 대한 여러가지 변수를 다각적으로 파악할 방침이다.
분양시기를 상반기에 집중하는 것이 좋은지와 투기 과열지구를 피해 새로운 주택 시장을 찾는 등의 묘안 찾기에 나서고 있다.
대전주택협회의 한 관계자는 “1.11부동산 대책이 도입됐기 때문에 업체들은 얼마나 분양하느냐는 단순 전략 보다는 주택 품질을 유지하면서 분양가를 내리는 ‘두마리 토끼’를 잡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업계의 고민은 분양가를 내리면서 주택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겠느냐는 점에 있다. 줄어드는 분양가 만큼의 비용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어디서 배분하느냐는 문제를 두고 업계는 해법 찾기에 나섰다.
익스테리어와 인테리어에 고르게 배분하느냐, 아니면 익스테리어든 인테리어든 한 부분에 집중 투자하느냐는 선택의 문제라는 분석이다.
일부 업체는 마이너스 옵션제도가 시행되는 만큼 인테리어보다는 최근 트렌드를 넘어 필수적인 아이템으로 자리잡고 있는 익스테리어에 집중하는 게 낫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부동산 시장이 급변하고 있는데다 소비자들의 ‘기호도’가 어떻게 변할지도 아직 예측이 어려워 외국의 여러사례들을 수집한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지역 건설 업체의 한 관계자는 “무작정 싼 아파트를 공급할 수는 없다”며 “품질로 승부하는 명품 아파트 분양 계획도 시장성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