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문숙 문화과학팀 |
얼마전 대덕문화원이 원장을 공모하면서 출마비용으로 원장은 1000만원, 2명의 부원장은 200만원씩 ‘자릿값(?)’을 붙였다.
때문에 부원장을 희망했지만 공탁금이라는 제도가 마음에 걸려 지원을 포기한 이도 있다.
그는 “돈을 주고 부원장 자리에 앉는 것은 그 자리를 사는 것과 진배없다고 여겨 포기했다”고 했다.
문화원이 출마비용을 요구한 사정은 당연히 있었을 것이다. 열악한 재정에 당장이라도 조금의 보탬이 될 수 있고, 또 문화원장 하겠다면 어느 정도의 기여는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했을 수 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취지가 그러해도 문화원장까지 자릿값을 매겨 놓고 뽑는 것은 누가 봐도 문제가 있다고 할 것이다.
진정한 문화원장 감이지만 공탁금때문에 출마를 못한다면 도리어 손해가 아닌가. 문화원을 발전시킬 특출한 아이디어를 가졌음에도 출마비용이 없는 데 별다른 방법이 없지 않은가.
이번 대덕문화원장의 고액 공탁금제도는 문화원장 자리마저 ‘매관매직(賣官賣職)’의 대상으로 전락한 느낌이다.
대덕문화원은 이 제도가 전임자 시절부터 후보자 난립 방지로 도입됐다고 하지만, 결과적으로 돈 없으면 문화원장에 나서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특정인을 위한 공탁금제도라면 과감히 버려야 한다. 후보자 난립은 변명에 불과하다.
구더기 무서워 장 못담그는 어리석음은 두 번 다시 반복해서는 곤란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