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동육서 (魚東肉西)
두동미서 (頭東尾西)
좌포우혜 (左脯右醯)
조율시이 (棗栗枾梨)
차례 절차
절할때 남자는 왼손을 위로… 여자는 4번절
민속 최대의 명절인 한가위(추석)다.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을 알아본다.
추석 차례상의 메(밥)는 원래 송편만 올리게 돼 있지만 밥과 송편을 함께 놓는 경우도 있다. 차례상은 방위에 관계없이 지내기 편한 곳에 차린다. 일반적으로 지방(신위)을 모신 곳을 북쪽으로 하며 이후 제주가 상을 바라봤을때 오른쪽을 동쪽으로 한다. 술은 한번만 따르고 축문은 안쓰는 경우가 많다.
남녀 자손이 함께 차례를 지낼 때제상의 왼쪽은 남자, 오른쪽은 여자가 선다. 절을 할 때는 제사와는 반대로 남자는 왼손,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게하고 각각 남자는 2번, 여자는 4번 절을 올린다. 기독교 신자는 무릎을 꿇고 어른의 명복을 빈다.
상차림 5열
밥은 신위 왼쪽 국은 오른쪽에 左飯右羹
지방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기본 상차림은 다섯 줄이다. 병풍 쪽 신위(지방) 바로 앞에서부터 첫째 줄에는 밥과 국, 잔, 수저가 놓여진다. 밥은 신위 왼쪽(제주 기준), 국은 오른쪽에 놓는 좌반우갱(左飯右羹)의 원칙을 따른다.
둘째 줄에는 적(구운 고기)과 전을 놓는다. 어동육서(魚東肉西)에 따라 왼쪽에 육류를 오른쪽에 생선 종류를 올린다. 생선은 머리가 오른쪽으로 가고 꼬리는 왼쪽으로 가게 놓는다. 두동미서(頭東尾西)의 원칙이다. 탕 종류가 셋째 줄에 놓여진다. 육탕(소고기 등), 소탕(두부·채소류), 어탕(어패류)을 왼쪽부터 순서대로 놓는다.
넷째 줄에는 좌포우혜(左脯右醯)라 하여 상 왼편에 포(북어, 대구)를 오른쪽에 식혜를 놓는다. 중간에는 나물`동치미`간장 등을 왼쪽부터 올린다.
차례상 가장 앞 줄에는 과일이 놓인다. 과일은 3가지, 5가지, 7가지 등 반드시 홀수로 장만해 왼쪽부터 대추`밤`곶감`배 순서로 올린다. 조율시이(棗栗枾梨) 원칙이다. 이외에 붉은 과일(사과 등)이나 과자류를 올릴 수도 있다. 지방은 가로 6㎝, 세로 22㎝의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쓴다.
최근에는 검정색 붓펜으로 먹을 대신하는 경우도 있다. 지방의 상단은 둥글게 하고 아래쪽은 평평하게 하는데 이는 천원지방(둥근 하늘과 평평한 땅)을 상징한다. 지방에는 ‘현고학생부군신위(顯高學生府君神位)’라고 쓰는 게 기본이다. 벼슬이 있으면 ‘학생’ 대신에 벼슬의 관직을 적어 준다.
제물 의미
복숭아, 귀신 쫓아버린다고 해서 쓰지않아
차례 음식에 아무거나 올리면 예법에 어긋난다. 일례로 복숭아는 귀신을 쫓아버린다고 해 차례상에는 올리지 않는다. 꽁치, 갈치 등 ‘치’자가 들어간 생선이나 비늘있는 생선(잉어)도 쓰지 않는다.
상에 올라오는 차례 음식에도 각각의 의미가 있다. 밤은 후손 중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등 3정승이 나오라는 의미다. 밤 3알이 한 송이가 되는 이유다. 황금색을 띠는 배는 깨달음을 뜻한다고 한다. 뇌처럼 생긴 호두는 잘 알려진 것처럼 머리가 좋은 자손이 되라는 의미다.
차례 절차는 제사와 비슷하다. 다만 술은 한번만 올리고 축문을 쓰지 않는다. 절을 할 때는 남자는 왼손이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야 한다.
이것만은 꼭!
▲좌반우갱(左飯右羹): 밥은 지방의 왼쪽에, 국은 오른쪽에 놓는다.
▲어동육서(魚東肉西):생선탕은 오른쪽, 육류탕은 왼쪽, 중앙에 채소로 끓인 소탕을 두고 탕은 홀수로 쓴다. 생선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한다
▲좌포우혜(左脯右醯):차례상 왼편에 포(문어` 명태` 오징어 등)를, 오른편에 침채(김치와 동치미), 숙채(불에 삶거나 쪄서 익힌 나물)를 둔다. 간장은 그 가운데 놓는다.
▲홍동백서(紅東白西):붉은색 과일은 동쪽, 흰색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조율시이(棗栗枾梨):상 왼쪽부터 대추(조), 밤(율), 곶감(시), 배(이)의 순서로 놓는다. 호두나 넝쿨과일을 그 곁에두고 마지막에 다식, 산자, 약과 등을 둔다.
▲고춧가루, 마늘 등의 양념이 들어간 음식은 차례상에 올리지 않는다.
▲국물있는 음식(탕, 면, 식혜)은 건더기만 쓰며 ‘치’ 자가 들어간 생선(꽁치` 갈치` 삼치 등)과 비늘있는 생선(잉어)은 쓰지 않는다.
▲붉은 팥을 쓰지 않고 흰고물을 쓴다.
▲요사스런 기운을 몰아내고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고 전해지고 있는 복숭아는 차례상에 쓰지 않는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