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윤근 충남도 농림수산국장 |
정부는 물론, 충남도에서도 이같은 새로운 수요에 대응해 농촌을 도시민의 휴양`정주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마을가꾸기 시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 사업으론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녹색농촌 체험마을 조성사업이 있고, 도시민 유치를 위한 전원마을조성사업도 있다.
이 사업은 지역주민이 스스로 계획을 수립, 추진, 관리하는 등 전 분야에 걸쳐 주도적으로 참여해야 하고, 각 시`군 농촌 관련 기관에서도 적극 참여해 관련 사업을 적극 발굴, 추진해야 한다.
이처럼 ‘누구나 살고 싶은 농촌마을 만들기 사업’을 성공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현 시점에서 몇 가지 중요한 부분에 관심을 갖고 추진해야 한다.
첫째는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어떻게 이끌어 갈 것인가다. 지금까지 농촌지역개발사업은 주민의 참여가 형식적이거나 의지가 부족했거나, 행정 편의적으로 추진돼 참여의 길이 차단된 측면도 있고, 주민간 갈등으로 참여가 위축되기도 했다.
최근엔 농촌의 어메니티(Amenity) 자원과 지역개발을 연계해 농촌다움을 유지하면서 농가소득 증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상향식 주민참여형 마을가꾸기 등이 시행되고 있는 추세다. 이는 지방화`분권화 시대를 맞아 주민과 지자체가 스스로 지역발전을 고민하고,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해 나가고 있는 것이다.
둘째는 농촌자원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다. 농촌 자원은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농촌의 다원적 기능을 실현하는 데 자긍심을 높이는 바탕이 되고 거주지역의 가치를 재인식하는 계기가 된다.
이 중 농업자원은 식량, 생명, 농촌 이해, 체험 등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는 만큼 주민참여형 농촌마을 가꾸기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환경생태자원은 마을형태, 산림, 경작지, 하천 등으로 구성된 토지이용과 식물, 동물, 지형 등 생태자원으로 구분돼 친환경 마을의 생태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경관자원은 농업, 환경생태, 역사문화 등이 모두 어우러져 주민의 정주환경에 의해 자연적으로 조성된 자원으로 축제와 이벤트 행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자원은 주민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체 활용, 체험프로그램, 이미지 자원 등으로 구성돼 마케팅 및 홍보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셋째는 성공적 실천전략을 어떻게 수립할 것인가다. 가장 중요한 것은 농촌에서 살고 싶고 머무르고 싶게 농촌다움을 보전하고 연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농촌이 갖고 있는 가장 중요한 자원은 ‘농촌 어메니티’로 지역의 매력을 찾아 다른 마을과 차별화된 이미지와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이를 인터넷, 언론매체 등을 통해 적극 알려야 한다.
지금보다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더 풍요로운 생활을 실현하기 위해선 마을 사람들이 힘을 모아 환경을 개선하고, 도시민은 농민의 마음속으로, 농민은 도시민의 마음속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