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철학교육 20주년

  • 오피니언
  • 독자 칼럼

어린이 철학교육 20주년

<목요세평>

  • 승인 2006-08-24 00:00
  • 정영기 대전대 교수정영기 대전대 교수
지금
▲ 정영기 대전대 교수
▲ 정영기 대전대 교수
도 어린이철학교육이라고 하면 “어린이가 무슨 철학이야?”, “어린이에게 역술을 가르치나요?”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우리나라의 어린이철학교육은 이미 20년 전에 시작되었다. 오늘 24일은 어린이철학교육연구소가 20주년을 맞는 기념일이다.

박민규 소장에 의해 20년전 종로구 행촌동에서 시작한 어린이철학교육연구소는 이제 관악구 봉천동에 소크라테스 빌딩으로 옮겨오면서 많은 발전을 하였다.

미국의 어린이철학교육연구소 IAPC (Institute for the Advancement of Philosophy for Children)는 립맨(M. Lipman)에 의해 뉴저지주에 몽클레어 주립대학 부설연구소로 1968년 세워졌다. 립맨은 보다 깊이있는 생각, 올바른 생각 등에 관심을 두고 어린이들이 철학적으로 사고하는 방법을 습득하도록 돕기 위해 어린이를 위한 철학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흔히 철학이라고 하면 공자, 맹자, 소크라테스, 칸트 같은 위대한 철학자의 책을 읽고 사상을 공부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때문에 철학은 골치아픈 것, 어려운 것이라는 고정관념과 편견이 있다. 철학에 대해 부정적이며 어린이의 철학교육에 대해서는 매우 회의적인 것이 우리의 실정이다.

그러나 말을 배우기 시작한 아이들은 “왜 그런가?”, “그것은 무엇인가?”라고 끊임없이 묻는다. 위대한 철학자의 사상을 배우지 않더라도 스스로 생각하고 사물에 대해 궁금증을 갖고 질문을 하는 어린이들은 이미 충분히 철학적인 소양을 갖고 있다.

어린이들이 좀더 어릴 때에는 사물에 대한 궁금증과 호기심이 왕성하지만 학교생활에 적응하면서 일정한 틀에 자신을 맞추고 정형화된 사고패턴에 익숙하게 된다. 이런 아이들이 몇 년 지나면 자신의 생각을 그대로 말하는 것이 아니라 정답인가 아닌가를 먼저 고민하기 시작한다. 어린이들은 점차 입시환경에 노출되면서 객관적 문제에서 정답찾는 훈련을 반복하게 되고 시험에 나오지 않는 것에는 관심조차 갖지 않는다.

반면에 어른들은 어린이들이 조금만 엉뚱한 생각을 하게 되면 “쓸데없는 생각하지 말고 가서 공부나 해라”라고 핀잔을 주기 마련이다. 어떤 어린이가 “하늘은 몇 개 있지?”라고 묻는다면 하늘이 매우 많은 상공의 수많은 지점들을 하늘이라고 부를 것인지 아니면 객관적인 하늘이라는 것이 존재하는 것인지 생각해 보는 것이다.

어린이가 사과가 나무에 달려 있을 때만 살아 있고, 나무에서 따서 집으로 옮겨 놓았을 때는 살아 있지 않다고 걱정한다면 그 어린이는 생명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는 것이다.

흔히 철학은 경이로움에서 출발한다고 말한다. 철학적으로 사고하는데 ‘궁금증과 호기심’은 필요하지만 ‘당연하지, 뻔한건데, 그냥’이라는 말은 필요없다. 어른들이 보기에 엉뚱하고 유치하고 시시껄렁하더라도 그 생각을 존중하고 인정해주어야 한다. 그러면 어린이가 스스로 질문하는 능력을 갖게 되며 자기만의 사고로 이어갈 수 있다. 어린이철학교육의 목표는 어린이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말하게 하는 것이다.

원로 철학자인 박이문 선생님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철학자는 필연적으로 어린이며, 철학은 어린이의 사유이기도 하다. 어린이의 눈 즉 철학자의 눈으로 볼 때 자명하고 자연스럽고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것이 한결같이 이상하고 알 수 없고 불분명하고 막연하고 애매할 때가 많다.

철학이란 쉬운 것을 어렵게 말하는 담론이 아니라 가능하면 모든 선입견에서 해방되어 모든 문제나 현상들을 있는 그대로 보고 모든 문제들을 논리적으로 정연하게 풀며 모든 사유를 가능하면 가능한 만큼 열린 마음으로 투명하게 해보려는 마음이며 태도이며 탐구자세이다.”

요즘 대학에서는 기초학문이 고사위기에 처해 있고 철학과는 폐과되는 상황이다. 철학에 대해 부정적이고 회의적인 견해가 지배적인 상황에서 온갖 어려움을 겪어 가며 어린이철학교육이 20년 지속되고 있는 것은 뭔가 시사하는 바가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양산국화축제, 6만 5천여 점 국화 작품 전시 성황리에 폐막
  2. 김태흠 “6.25 참전유공자 희생·헌신 잊지 않을 것”
  3.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아니 갑자기 이렇게? 10번 문제에 우수수 탈락
  4.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즐겁게 퀴즈풀며 안전상식 배웠다… 2025 예산군 어린이 안전골든벨 '성료'
  5. 충남도, 내년 국비 확보 총력… 김태흠 지사 국회 방문
  1.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국제공모작 13개 윤곽...국민의 원픽은
  2.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최형규 예산군 산업건설국장 "안전상식 배우고 실천해주길"
  3.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유영돈 중도일보 사장 "아이들 행복의 기초는 안전"
  4. [2025 예산 안전골든벨] 퀴즈왕 조림초 전태수 학생 "즐겁게 퀴즈 풀다보니 우승까지… 기쁘다"
  5. '기업성장 벤처펀드' 자펀드 운용사 모집

헤드라인 뉴스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방산기업들이 동유럽 시장에서 1521만 달러 규모의 수출 상담 성과를 올렸다. 한화로는 223억 4195만 원에 달한다. 21일 대전테크노파크에 따르면 지난 13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방위산업 기술 비즈니스 교류'에서 대전 지역 7개 방산·드론 기업이 이같은 결과를 냈다. 이번 상담회는 대전TP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공동으로 방산 사절단을 파견해 진행한 1대 1 비즈니스 상담회로, 폴란드 바르샤바 현지에서 개최됐다. 폴란드는 최근 동북 지역 국경 안보 강화에 나서며 국방예산을 확대하고 군 현대화를 추진하고..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가 내년부터 3·8민주기념관을 직접 운영하며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민주주의 교육프로그램 신설을 준비한다. 20일 대전시와 (사)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4일 개관한 중구 선화동 3·8민주의거기념관을 그동안 대전시가 직접 운영하던 것에서 기념사업회에 운영을 위탁하는 방식으로 내년 1월 전환된다. 3·8민주의거기념관은 1960년 3월 8일 대전에서 시작된 고등학생들의 민주화 시위로, 당시 이승만 정부의 부정부패와 불의에 항거하며 민주주의를 위해 나섰던 학생들의 용기와 희생을 상징하는..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연일 계속되는 초겨울 추위 속에서도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는 봄을 미리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전시가 열린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이사장 심상택)은 11월 22일부터 2026년 3월 1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 제라늄 품종 전시회 '우린, 지금부터 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제라늄전문협회와 협업해 진행되며, 약 350종의 제라늄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제라늄은 남아프리카가 원산지로, 화려한 꽃과 쉬운 관리로 한국 베란다 정원에 적합한 식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도 꽃을 피워 봄을 미리 준비하는 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