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오거리’가 주변 도시정비사업 지구들 사이에서 ‘섬’으로 남아, 원도심 재개발 차원의 광역 도시 교통망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오거리’ 인근에 도시정비 예정지구가 도로를 경계로 각각 떨어져 분포돼 있어 사업지구간 연계되지 않은 개발이 진행된다면 머지않아 교통량 증대 등에 따른 도로 정체 현상이 불가피 하기 때문이다.
14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지역 내 ‘오거리’는 중구 대흥동 대고 오거리를 비롯해 대사동 보문산공원 오거리, 대흥동 성모오거리, 태평동 태평오거리, 동구 대동 오거리, 서구 변동 오거리, 대덕구 오정동 농수산시장오거리, 오정 오거리, 오정동 홍도육교 오거리, 유성구 궁동 충대정문오거리 등 10곳에 달한다. 이들 가운데 대동오거리 등 5곳 인근에는 도시정비사업 예정지구가 분포돼 있다.
하지만 이들 예정지구는 ‘오거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인접해 있기 때문에 각각의 개발에 따른 ‘오거리’ 구조 변화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같이 기존 ‘오거리’ 구조를 도시정비사업에 포함하지 않은 채 개발이 진행되면 교통량 급증에 따른 부담을 주민들이 고스란히 짊어질 수밖에 없다.
또 ‘오거리’는 도시 계획으로 형성된 것이 아닌, 필요에 의해 사거리가 변형된 것이 많아 도시 전체의 물수량 이동을 비롯, 개발에 따른 사업성과 관련해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오거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촉진지구에 포함한 광역적인 개발 속에서 도로 구조를 효율적으로 개선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서구 둔산지구와 같이 전체적인 구획정리는 불가능하더라도 촉진지구 안에서 추진되는 도시정비사업으로 ‘오거리’의 사거리화 또는 오거리 활용이라는 방법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한 건축사는 “촉진지구와 같이 큰 덩어리로 개발을 할 경우 도로 구조 변경이 가능하다”면서 “오거리를 사거리 또는 삼거리 등으로 단순화해 교통량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는 방법을 찾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시청 관계자는 “도로는 하천 등 지형적인 부분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개조에 대해서는 쉽게 생각할 일은 아니다”면서 “하지만 광역적 개발이 추진될 경우 오거리의 활용 및 개조 등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