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인구 13.15대 국회의원 |
충청인 한목소리 내야
요즈음 충청도의 숙원사업이기도한 현안사업의 찬반론이 극성스럽고 집단적으로 가시화되어 나타나고 있는데 참으로 회의를 금치 못한다. 장항국가산업단지 조성에 대한 양극적 대립현상을 보고 참을 수 없어 하는 말이다.
두 달 전 실시한 지방선거에서 압승하여 연임한 서천군수가 수만 명의 군민이 참가한 가운데 “장항산업단지 즉각 시행하라”는 플래카드 앞에서 열변을 토하는 모습을 보았다.
한편 일부지역 군민과 어민들은 “자연을 훼손하는 장항산업단지 백지화”를 외치며 결사반대를 서슴없이 하고 있다.
또한 압도적으로 당선된 충남지사는 “장항산업단지는 17년 전부터 국책사업으로 확정된 충남발전에 필수불가결한 사업이며, 정부는 일관성 있게 이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청와대에서 개최한 전국 지방단체장 연석회의에서 대통령에 따지고 건의하는 적극성까지 보이고 있다.
국가산업단지 조성 주무부는 예산 마련도 걱정인데 백지화운동도 있고 하니 재고 재조정할 수도 있다는 뉘앙스를 풍기고 있다. 한 목소리를 내도 어려운 판인데 우리 충청도가 이렇게 어지럽게 싸움질만 해야 되겠는가. 애향심을 가진 사람이면 개탄하지 않을 수 없다. 마치 충청도민은 콩가루같이 보일 수 있지 않은가.
필자는 1988~92년에 13대 국회건설위원을 지냈다. “남해안 벨트에는 국가산업단지가 즐비한데 왜 서해안 시대를 비전으로 제시한 노태우정부는 서해안에는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외면하고 있는가?” 하고 주창한 바 있다. 대안으로 나온 것이 군장(群長)국가산업단지였다.
“군장단지는 도계를 따로 하고 있는데 2개 단지로 나누어 지정하는 게 좋지 않은가? 또 2개 지구의 개발 면적이 장항 쪽이 더 넓은데 군장이 아닌 ‘장군(長群)’으로 명명하는 게 좋지 않느냐”고 제안하기도 하였다.
“장항 외해(外海)에 도류제로 연결될 두 개 섬이 있는데 이것은 전북관할이고 충남과 전북의 도계가 그 내해에 설정돼있는데 개발후의 산업단지 면적은 전북 쪽이 더 넓다.
따라서 지금의 도계에 따라 운하를 설계할 것이고 그때는 그 지역은 장항지구가 아니게 된다”는 설명을 듣고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두 개 섬은 애당초 충남관리 지역이었는데 금산군을 충남에 이관할 때 전북으로 편입된 섬이라는 것도 그때 알았다.
여하튼 89년에 군장국가산업단지로 지정 공표된 지 17년의 세월이 흘렀다. 선 군산지구 개발, 후 장항지구 개발이라는 원칙 앞에 지금 군산지구 기반공사는 준공직전에 있고, 이미 입주예정공장은 사전분양을 끝내고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필자는 15대 국회에 등원하여 예산결산위원이 되고 “장항지구가 후속 개발되는 현실은 인정하지만 최소한의 진입도와 도류제공사는 지금부터 병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역설하였다. 이 사실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천군에 내려가 개인공청회를 연 일도 있었는데 서천군민은 한결같이 적극 찬성하고 정부처사를 규탄하기도 했다.
필자가 국회등원을 포기하고 정치은퇴생활을 하고 있을 때 실세인 군산출신 국회의원(지금은 작고)이 나를 찾아와 금강 하구언 내륙수면 군산쪽에 인공 섬을 만들어서 민자 유치하니 선배회사가 참여해 달라는 상의를 해 왔다.
“여보, 나를 충청도민으로부터 이완용으로 만들자는 거요? 그 인공 섬은 충청도와 전북이 공유하는 내륙수면을 전북에서 강점하는 것이오. 그리고 그 인공 섬은 한없이 내려오는 모래를 장항 쪽으로 흐르게 하는 보가 될 것인데 그 후는 장항 쪽의 항구건설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됩니다.”
나는 이 엄청난 제안 내용을 충남도와 서천 출신 현역의원에 제보했었다. 지금은 그 인공 섬이 완성되고 휘황찬란한 관광지(유흥지)가 되었다고 들었다. 한심한 일이 아닌가?
무릇 가치판단은 언제나 100%일 수는 없다. 더 많은 쪽의 여론과 의견이 전체를 대표하는 것은 민주주의원칙이다. 그리고 이런 현안문제는 과거보다 지금이, 지금보다 먼 훗날의 가치에 기준을 두어야 한다고 본다.
이런 관점에서 지금과 같은 혼돈을 빨리 정리하여 하나가 되는 리더십이 어느 때보다 긴요하다고 주청하는 나의 생각이 과연 고루한 아집에서인가?
제발! 제발! 제발!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