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국가에는 농림 분야에 소속돼 있고 어떤 국가는 환경 분야에 소속되어 있으나, 산림이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국가는 독립된 산림분야 정부조직을 가지고 정부조직 중에서도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우리나라는 산림이 농림 분야에 소속돼 있다. 농업과 임산업의 연계성에서 비롯된 것이라 보인다.
최근 황사가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환경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높아지면서 범정부차원에서 이 문제를 다루고 있다. 덩달아 환경관련 정부부처도 다른 부처에 비해 힘을 받고 있는 것 같다.
우리청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달 노대통령은 몽골 정상과의 면담에서 조림을 통한 황사 및 사막화방지를 위한 환경협력에 합의한 바 있다. 동북아의 사막화를 황사의 원인으로 보고 있으며 비록 황사가 환경문제로 다루어지고 있지만,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법에서는 가장 현실적인 것이 조림을 통한 사막화방지이기 때문에 산림을 통한 환경보전이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올해는 유엔이 정한 ‘사막과 사막화의 해’(International Year of Deserts and Desertification)이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우리청은 지난 14일 프레스센터에서 ‘동북아 사막화 및 황사피해 저감을 위한 동북아 산림네트워크 구축’을 주제로 한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중국, 일본, 몽골 정부에서 그리고 IUFRO(국제 산림과학기구연합), UNCCD(유엔사막화방지협약)와 UNESCAP(유엔 경제사회이사회 아태지역사무소) 등 국제기구에서 사막화 전문가가 참여해 동북아 산림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에 국내외의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중국, 일본, 몽골 및 국제기구가 ‘동북아 산림네트워크’구축에 대해 제기한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중국은 각국 정부 고위급의 지원을 강조하고 기술공유 및 민간참여의 중요성을 제기하고 이번 네트워크(안)를 재구성해 고위급이 참여하는 논의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일본은 현재 일본이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이번 네트워크의 참여범위를 확대하여 NGOs 및 이해당사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몽골도 ‘동북아 산림네트워크’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동 네트워크의 구상에 적극지지를 보냈으며 UNCCD는 북한의 참여를, UNESCAP은 효율적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산림청은 이번 네트워크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규모의 적절성, 다른 협의체들과의 차별성 및 상호보완적 기능에 역점을 두고 그간 논의된 각국의 입장을 바탕으로 동 네트워크를 재구상해 조만간 관련국 실무자들에게 배포할 계획이다.
성공적인 네트워크 구상을 위해서는 상호신뢰가 중요한 만큼 우리청은 사막화 및 황사사업 경험과 정보를 교류하는 인적교류를 통한 공동연구사업을 먼저 시행할 계획이며, 공동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동 네트워크 운영과 관련된 사막화방지를 위한 다년간 행동계획(MAP)이 수립될 것이다.
오는 8월에 태국에서 개최예정인 UNCCD 아시아지역회의에서 재구성된 네트워크(안)에 대한 논의가 있을 예정이다. 그리고 금년 말에 예정되어 있는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동북아 산림네트워크’의 공식출범을 제안하고 제1회 회의를 내년 2월에 한국에서 개최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이 네트워크는 그간 각국 및 국제기구가 이루어온 경험과 기술을 집대성하여 체계적이고 장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거대한 프로젝트다. 우리청은 향후 동 네트워크가 어느 정도 정착되면 러시아와 북한이 참여하는 6자 형태의 네트워크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이 네트워크가 동북아 산림분야발전의 초석이 되길 기대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