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먹거리 창출, 국가경제 발전의 중요한 요소로 기술사업화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과학기술 및 산업경제 전 분야에 걸쳐 이를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물론 기술사업화가 국가적으로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기관 등의 기술적 성공이 기업을 통한 기술사업화 및 상용화되는데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기술사업화를 위하여 필수요소인 금융(기술금융) 등과 같은 기반도 충분치 못한 상태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기술사업화의 활성화와 관련하여 희망적 설계도를 그릴 수 있는 것은 개방형 혁신제도, 예를 들면 Connect Korea나 기술거래시장, 기술이전센터 등과 관련하여 산·학·연 등 활동 주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상호발전을 위하여 노력한다는 점이다.
대덕특구는 특히 단순히 지역적으로 산업체가 집적되어 있는 형태의 산업공단과 달리 경제적인 ‘주제’가 있고 ‘가치사슬 네트워크’가 있다는 점에서 기술사업화에 더욱 유리하다.
물론 이의 활성화를 위해 기술사업화 기반을 조성하고 가치사슬 연계형 대형 비즈니스를 만들어내는 것도 필요하다.
대덕에는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많지만 규모의 경제를 이룰 만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 기업은 별로 없다. 이의 대안으로 기업들의 자원과 연구소 및 대학의 자원을 합하는 조인트 벤처 형태의 혁신적 비즈니스를 키워내는 것이다. 최근 항공우주클러스터 등이 이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으며 안팎의 시선이 집중되는 이유 역시 같은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대덕특구는 이에 더하여 기술사업화를 핵심에 두고 국내 및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에 심혈을 기울이는 한편 이에 필요한 요소 등을 확충하는데 더욱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대학, 연구소가 보유한 기술을 발굴, 수요자(기업 등)에게 적시에 이전하고, 기술을 이전받은 기업이 신제품 개발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기술사업화 인프라를 구축, 지원하고 있다.
기술 발굴과 개발을 위하여 기술사업화 거점 및 협력 네트워크 인프라 등을 구축하고 기술거래정보 DB 구축, 상설 기술이전 시장 운영, 전문 인력양성 등 기술 사업화에 필요한 요소를 지원 중이다.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도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주변의 중국과 일본 등은 물론 미국과 유럽의 각 클러스터와 폭넓은 관계를 형성하며 교류와 상생의 파트너십을 만들고 있다.
물론 대덕특구 및 산학연 등이 국제무대에서 기술사업화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부 경쟁력 및 내실, 역량을 더욱 강화하여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해외 유수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있는 기업이나 연구기관, 대학의 경우 자신이 세계 최고임을 자랑하기에 앞서 타인들 앞에서 스스로를 해부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단점을 조망하고 보완점을 강구하며 세계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는 경쟁력을 얻고 있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혁신마인드가 최근 대덕특구 산·학·연 등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것이 최우선 요소임을 고려할 때 대덕특구는 기술사업화 활성화의 전초기지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 확신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