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문영 기자 |
이번 일을 통해 어느 조직보다 분주한 특구본부는 새롭게 시작하는 기관으로서 적지 않은 고민과 고통을 경험했음에 틀림없다. ‘등잔 밑이 어둡다’는 진실을 깨달은 것은 물론 앞으로 해결해 나가야할 과제가 결코 만만치만은 않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끼지 않았을 리 만무하다. 무엇보다 대덕특구본부는 한 가족인 복지센터의 체제 재정비 및 관리.감독체계를 더욱 강화시키는 등의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나름대로의 결과물이자 과제물을 얻어냈다.
이번 문제를 두고 특구본부 측에서는 대덕특구본부 출범 이전인 대덕연구단지관리본부 당시 빚어졌던 문제였다고 치부해버릴 수도 있었다. 하지만 대덕특구본부에서도 이같은 일이 전혀 생기지 말라는 법은 없지 않는가.
타산지석(他山之石)이란 말처럼 이번 일을 통해 특구본부는 한 울타리 안에서 대덕특구인들의 복지를 책임지고 있는 복지센터에 대한 관심을 더욱 가져야 할 것이다. 각종 새로운 사업창출과 혁신주체들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도 중요하지만 복지문제는 대덕특구가 절대 간과해서는 안 될 매우 민감하고 중요한 분야임에 틀림없기 때문이다.
이번 사안을 두고 항간에는 ‘수억원도 아니고 수백만원 갖고 과기부에서 특감까지 할 필요가 있었느냐’, ‘기관장이면 그 정도쯤 챙길 수 있는 거 아니냐’는 등 도무지 납득되지 않는 발언들이 곳곳에서 들려왔다. 그만큼 우리사회에서 비리 및 부패에 대한 결론은 행위 자체가 아닌 돈의 액수로써 평가되고 있다는 안타까운 사실을 반증해주고 있는 것이다.
대덕특구본부는 복지센터의 기둥이자 바람막이가 돼야 한다. 새롭게 태동한 기관인 관계로 처음 시작이 미약하고 온갖 루머에 시달릴 수 있지만 대덕특구만이 아닌 세계 초일류 혁신클러스터로 가야 하는 원대한 목표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