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 한사람으로서 이번 결정이 시의 정책방향에 대한 적정성 여부를 떠나 과연 시정책 방향의 효율성측면에서 적절한 선택이었는가 하는 점에 대하여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지난 수년 간 각종 기사를 접하다 보면 엑스포과학공원에 대한 대표적인 신문지상의 헤드라인은 활성화 장기표류, 만성적인 적자, 천덕꾸러기 신세 등의 단골메뉴로 표현되어 왔는데, 그 이유를 들여다보면 엑스포과학공원과 과학기술에 대한 대전시와 시민의 이해부족에서 출발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즉, 과학기술에 대한 투자는 지자체 산하 지방공사에서 추진하기에는 너무나 벅차고 대규모 예산이 소요되는 사업으로 국민적인 공감대 형성아래 전 국가적인 관심과 투자가 병행되어야 하는 중요한 사업임에 틀림없습니다.
엑스포 자체 대규모축제 등의 이벤트행사 추진사업의 결과는 사업적자누적과 수지의 불균형으로 인한 적자폭만 키울 뿐이며, 흔히들 공익사업이라 전제하면서도 국비나 지자체 차원의 예산지원도 없어 대규모행사 유치로 입장객 수는 일부 늘어났을지 몰라도 적자는 더욱 늘어나 활성화를 위한 길은 요원한 일이 아닐 수 없는 실정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 중앙일간지 기자가 쓴 글은 엑스포과학공원을 바라보는 시각의 좋은 비교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프랑스 파리 북쪽에 건설된 과학 및 산업단지인 라 빌레트(La Villette) 지원예산은 1억1500만유로(약1500억원)에 이르고 그중 자체수입은 22%에 불과하고, 정부지원금이 78%에 이른다는 내용입니다.
그러나 과학도시 대전에 위치한 대전엑스포과학공원의 연간 예산은 200여억 원에도 미치지 못하며, 그중 정부나 지자체 등에서 지원되는 예산 또한 전무한 실정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대전시에서는 실질적인 과학기술 및 투자는 거의 없이 오직 검증되지도 아니한 국책사업만이 과학공원의 활성화의 전부인양 홍보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대전시민과 전국민의 과학기술에 대한 교육의 장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있다면 실질적인 과학공원의 활성화와 투자의 중복성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과학과 자연을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과학공원 내 사용하지 않는 부지 안에 플라워랜드 등의 사업시설을 설치했으면 어떠했을까 하는 아쉬움을 가져봅니다.
이처럼 정부나 지자체의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이 전무한 상태에서 과학공원 활성화를 논의한다는 것은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일이 아닐 수 없으며 스스로 자생력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실질적인 자립에 도움이 되는 사업을 과학공원에 지원하는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플라워랜드의 보상비 또한 92억 원에 이른다는데 과학공원 넓은 부지에 착공한다면 최소한 보상비로 지출되는 세금이 중복 투자되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아울러 대전시와 시민의 공감대를 형성하여 총공사 투자비가 엑스포과학공원에 투자되어진다면 과학공원은 그 어떠한 실질적인 활성화보다도 더 효과적인 활성화의 한 축이 될 것으로 생각되는 것은 우매한 일부 소시민의 어리석은 생각일까요?
대전시에서 추진중인 플라워랜드의 사업자체의 방향을 되돌릴 수는 없는 일이겠지만 아쉬움이 큽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