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송오용 기자 |
‘삼연’ 관리만 잘해도 ‘선거 불패’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우리 사회는 아직도 능력보다 연고를 중시하는 풍토가 강하다. 도의원이나 군의원 후보 중 상당수가 각급 학교의 동창회장, 운영위원장 등을 맡는 것도 ‘표’ 때문이라는 것을 의심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배타적이고 폐쇄적인 패거리 정치문화를 만들어 온 원천이 연고주의다.
능력위주의 공정한 경쟁의 룰을 깨뜨려 원칙이 무시되는 사회 풍토를 조장하며 반목과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렇다고 연고주의가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연고주의는 때론 공동체 통합과 발전의 역할을 하는 긍정적 측면도 있다.
문제가 되는 것은 연고주의의 집단화 현상이다.
집단이기주의 형태로 변질된 연고주의는 상대 후보측에 대해 극렬한 배타적 성향을 보이면서 과열양상을 부추긴다.
선거가 끝난 이후에는 표를 앞세워 당선자를 압박하며 보상을 요구하기도 한다.
강화된 선거법의 엄격한 적용으로 과거에 있었던 관권과 금권선거는 상당히 줄어들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연고주의에 기인한 패거리 정치문화는 아직도 그 태를 벗지 못하고 있는 듯 하다.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금산지역은 선거로 인한 깊은 반목과 갈등으로 심각한 선거 후유증을 앓아 왔다. 후보의 능력이나 자질보다 ‘연고’를 택한 선거의 결과 때문이다.
연고주의는 현실과의 타협이다. 현명한 유권자가 올바른 후보를 선택 한다. 이번 선거가 그간의 반목과 갈등을 일소하는 선택의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