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지난 ‘95년 소득 1만 달러 시대를 달성한 이래 ‘마(摩)의 1만불 늪’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국토의 20%에 불과한 수도권에 전 인구의 50%가 거주하면서 경제·사회를 독점해 수도권과 비수도권이라는 지역적 양극화와 상?하??계층간의 양극화라는 심각한 불균형 현상을 빚고 있다.
이제 이러한 불균형 현상은 국민통합과 지역발전의 가장 큰 장애요인이며 과거와 같은 국가 의존적 방식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시대가 됐다. 이제는 지방이 중심이 돼 스스로 비전을 창출하고 전략을 개발하며 실행하는 발전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런 측면에서 행정도시와 도청이전이라는 발전적 호재를 맞고 있는 우리 충남도가 내적으로 갖고 있는 불균형 요소들을 통합적 균형으로 승화시키기 위한 과제를 고민해야 한다.
충남은 과거 전통 농업도에서 첨단산업도로 발돋움하며 작년에는 총 335억 달러의 수출을 통해 전국 4위 실적을 기록했으며 1인당 GRDP도 2272만원으로 전국 2위를 기록하는 등 고도성장을 이뤘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경제의 비약적 발전 이면에는 각 지역간 불균형성장이라는 난제가 놓여있다. 도내 경제성장의 중심이 천안?아??등 북부 산업권을 중심으로 편중돼 있으며 수부도시인 천안시의 52만 인구와 청양군의 3만5천명의 인구는 15대1로 편차가 심하고, 재정자립도 또한 48%의 천안시와 10%의 서천군 간에는 5배의 차이가 존재한다.
이런 지역간 불균형을 시정하고 환황해권 시대를 주도하기 위해서는 충남이 갖고 있는 국토의 중심성, 대중국 교역의 관문이라는 지리적 여건과 행정도시 건설과 대덕연구단지의 지적 자산을 적절히 활용하는 균형발전전략을 구상하고 추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그동안 도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지속 추진해온 4대 개발권인 북부산업권의 첨단산업벨트 구축, 서해안권의 해양관광과 기업도시 육성, 백제문화권 개발, 금강권의 고령친화산업 등을 특색 있게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행정도시의 발전 동력을 내륙과 서해안 지역 및 인근 금강권으로 파급되도록 연계하고 내포문화권의 독특한 서민?종교????체계적으로 발전시키는 동시에 신도청소재도시를 서부내륙권의 중심도시로 육성하는 3대 전략프로젝트를 통해 발전의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지역간 시너지 효과를 위해 우선 추진해야 할 것은 도내 전역을 1시간 권으로 통합하는 지리적 네트워킹이다. 이를 위해 서해안고속도로 당진~서천구간의 확장과 당진~천안, 보령~공주 간 고속도로 및 보령~조치원 간 충청선 철도, 태안~천안 간 동서산업철도의 건설, 수도권전철의 신도청까지의 연장, 당진항·대산항·보령신항의 활성화를 통해 남북간 및 동서 간 교통 및 물류망을 확충해 도내 균형발전을 위한 기반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물적 기반의 확충과 더불어 지역의 인적자원과 문화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각종 산업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소프트웨어 및 인적네트워킹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내에는 34개 대학에 15만명의 대학생이 있고 인근 대덕연구단지에는 1만6000명의 고급 연구 인력이 상존하고 있어 이들 우수한 인적자원과 산업 활동을 연계해 충남이라는 광대한 지역산업클러스터를 형성,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중심이 되도록 노력해 나가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