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이며 '밥'으로서의 문화

  • 오피니언
  • 문화칼럼

'혼'이며 '밥'으로서의 문화

  • 승인 2006-02-11 00:00
  • 최충식 논설위원최충식 논설위원
문화
적으로 굳이 우리 동시대를 정의하라면 변화와 엔트로피 법칙에 기초한 세계관이 부상하는 시대라고 요약하고 싶다. 다음으로 언론 동네에서 바라본 문화정책에 대해 물으면 개발해야 할 부분과 개혁해야 할 부분을 분간 못하는 현상을 꼽는데 주저함이 없을 것이다.

그 교과서 같은 사례 중 오늘은 독일 중북부 도시 카셀(Kassel)의 성공을 예로 들며 글을 전개할까 한다. 도시 전체가 마치 동화박물관 같은 카셀은 문화의 시대를 넘어 문화전쟁의 시대에 우리가 어떻게 세계문화의 광장으로 나가는지의 힌트 하나를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그림형제의 동화가 씌어진 그곳의 고성(古城)을 지나는 사람들로 하여금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들이 튀어나올 듯이 느끼게 하는 힘의 근원을 생각해봤다. 그리고 그 해답은 인간의 손, 땀과 노동이 소외되지 않고 창조적인 머리를 기반구조로 태어나는 문화의 특수성을 존중한 것에서 찾아진다.

사실 근자의 문화정책은 순수한 문화예술 자체보다 경제활동으로 경도된 감이 있다. <쥬라기공원> 한 편이 자동차 150만대 수출 효과와 맞먹는다며 종종 로또사업처럼 호도하기도 한다. 일견 맞는 말이고 일견 틀린 말이다. 후자의 경우는 주로 문화산업의 방점(傍點)이 '문화' 아닌 '산업' 쪽에 찍혔을 때에 해당한다.

산업인 이상 문화와 산업이 짝짓기한 문화산업도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를 속성으로 한다 치더라도 스타 중심의 말초적으로 비대해진 문화와는 다르다. 아니, 분명히 달라야 한다. 일례를 들어 개발 위주의 관광이 문화와 상충하게 되면 표방하는바 문화관광의 노른자위여야 할 문화가 실종되고 결국 관광마저 껍데기로 만들 논리적 모순을 안고 있다.

또 하나 범하기 쉬운 오류는 문화는 유적지에나 있고 예술은 공연장과 전시장에만 있으며 경제만 발전하면 문화는 저절로 산출된다는 식의 착시다. 이런 토양인지라 우리가 숨쉬는 환경 모든 것이 문화이며 문화상품의 소재라는 안목을 가져볼 여지도 없었던 게 아닐까?

우리가 글머리 혹은 말끝마다 문화의 세기니 문화가 밥 먹여준다고 공언하면서 기실 게걸음치거나 거꾸로 가는 반문화성은 심하게 비유해서 밥그릇을 차 버리는 행위다. 본의든 아니든 관(官)의 지원과 간섭이 부른 관성화가 무한히 다양해야 할 문화예술을 주눅들게 하고 사업성을 그르친 경우조차 없지 않았다. 이러한 반성을 전제로, 지난날 우리 경제 위기를 "문화적 독창성을 개발하고 선전하는 데에 실패"한 데서 찾은 문화비평가 기 소르망의 진단은 정말이지 탁견이란 생각이 든다.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흘러드는 문화의 체질을 인식론적 다원성으로 되짚어낸 것이기도 하다.

문화와 예술은 장르간 고른 발전 속에 꽃피게 된다. 특정 주류문화를 뺀 비주류문화는 피도 눈물도 없는 문명의 황야에 버려 두고, 예술은 산업이요, 문화는 경제라는 등식을 철저히 신봉했더라면 가령 고전예술은 시장성 부재를 구실로 진작에 내쳐야 했을지 모른다. 역설적이게도 번식력 내지 증식력이 왕성한 문화가 그렇지 못한 문화와 공존할 때 보다 큰 힘이 생긴다. 또 더불어 산업도 살고 경제도 사는 법이다.

밥을 빌지 않고 밥그릇을 빌리면 거지가 아니라고 한다. 우리가 처녀림을 방불케 하는 카셀의 공원에서 불쑥 일곱 마리 아기 염소나 헨젤과 그레텔과 조우할 듯한 '중세적' 착각에 사로잡히는 것은 나무 한 그루라도 헐후하게 벨 수 없는 산림정책 덕이라 할 수 있다.

아주 조그만 도시, 2차 대전 때 폭격으로 쑥대밭이 되다시피 한 카셀이 유럽의 명소로 위치를 굳히면서 그림형제가 태어난 하나우, 유년 시절을 지낸 슈타인나우, 대학에서 인생의 스승을 만난 마르부르크까지 부각되고 있다. 이래도 대전에 문화가 없다는 둥 뿌리가 없다는 둥 징징거릴 것인가.

감히 화가나 문인의 붓끝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생각, 이력서용(用)이 아닌 진지한 연주와 공연으로 물질주의와 정신주의의 불균형을 해소한다는 생각에서 혁신이 움튼다. 기를 쓰고 용을 써서 반드시 될 일이 아니로되 어쨌든지 우리의 '숨통'과 '밥통'을 동시에 열어주는 지름길이라는 믿음만은 버릴 수 없다. 문화와 예술은 우리 혼이며 밥이기에 내리는 결론이다. 대전문화, 대전예술도 이와 같다.<대전예술 2006년 2월호 '예술칼럼'>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서 금강 수자원 공청회, 지천댐 맞물려 고성·갈등 '얼룩'
  2. [현장]3층 높이 쓰레기더미 주택 대청소…일부만 치웠는데 21톤 쏟아져
  3. 차세대 스마트 교통안전 플랫폼 전문기업, '(주)퀀텀게이트' 주목
  4. 롯데백화점 대전점, ‘퍼피 해피니스’ 팝업스토어 진행
  5. 유등노인복지관, 후원자.자원봉사자의 날
  1. 생명종합사회복지관, 마을축제 '세대공감 뉴-트로 축제' 개최
  2. [화제의 인물]직원들 환갑잔치 해주는 대전아너소사이어티 117호 고윤석 (주)파인네스트 대표
  3. 대전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남대 공동학술 세미나
  4. 월평종합사회복지관과 '사랑의 오누이 & 사랑 나누기' 결연활동한 동방고 국무총리 표창
  5.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헤드라인 뉴스


`2026 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실낱 희망도 깨졌다

'2026 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실낱 희망도 깨졌다

2026년 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개최가 2024년 가을 문턱을 넘지 못하며 먼 미래를 다시 기약하게 됐다. 세간의 시선은 11월 22일 오후 열린 세종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이하 산건위, 위원장 김재형)로 모아졌으나, 결국 더불어민주당 주도의 산건위가 기존의 '삭감 입장'을 바꾸지 않으면서다. 민주당은 지난 9월 추가경정예산안(14.5억여 원) 삭감이란 당론을 정한 뒤, 세종시 집행부가 개최 시기를 2026년 하반기로 미뤄 제출한 2025년 예산안(65억여 원)마저 반영할 수 없다는 판단을 분명히 내보였다. 2시간 가까운 심의와 표..

[현장]구청·경찰 합동 쓰레기집 청소… 일부만 치웠는데 21톤 쏟아져
[현장]구청·경찰 합동 쓰레기집 청소… 일부만 치웠는데 21톤 쏟아져

<속보>="내 나름대로 노아의 방주 같아…'나는 자연인이다' 이런 식으로, 환경이 다른 사람하고 떨어져서 살고 싶어서 그런 거 같아요." 22일 오전 10시께 대전 중구 산성동에서 3층 높이 폐기물을 쌓아온 집 주인 김모(60대) 씨는 버려진 물건을 모은 이유를 묻자 이같이 대답했다. 이날 동네 주민들의 오랜 골칫거리였던 쓰레기 성이 드디어 무너졌다. <중도일보 11월 13일 6면 보도> 70평(231.4㎡)에 달하는 3층 규모 주택에 쌓인 거대한 쓰레기 더미를 청소하는 날. 청소를 위해 중구청 환경과, 공무원노동조합, 산성동 자율..

2024 세종상가공실박람회 `혁신적 역발상` 통했다
2024 세종상가공실박람회 '혁신적 역발상' 통했다

세종의 높은 상가공실 문제를 감추지 않고 있는 그대로 드러내 문제 해결을 노린 혁신적 역발상의 '2024 세종상가공실박람회'가 실수요자들의 큰 관심 속에 막을 내렸다. 상가 소유주와 실수요자를 연결함으로써 상가공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종시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동으로 20일부터 21일까지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 이번 박람회에는 이틀간 1000여 명이 현장을 방문했고 프랜차이즈 부스에서는 6건의 실제 가맹계약이 성사됐다. 여기에 박람회 이후 10개 팀이 실제 상가 현장을 찾았으며 추가로 방문 예약..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롯데백화점 대전점, ‘퍼피 해피니스’ 팝업스토어 진행 롯데백화점 대전점, ‘퍼피 해피니스’ 팝업스토어 진행

  •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