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 정월보름. 한자로는 ‘상원(上元)’이라고 한다. 상원이란 중원(中元·음력 7월 15일, 백중날)과 하원(下元·음력 10월 15일)에 대칭되는 말로 모두 도교적인 명칭이다. 이날은 우리 세시풍속에서 가장 중요한 날로 설날만큼 비중이 크다.
1월 1일은 1년을 시작하는 날로 당연히 의의를 지녀왔지만, 달의 움직임을 표준으로 삼는 음력을 사용하는 사회에서는 첫 보름달이 뜨는 대보름날이 보다 더 중요한 뜻을 가지는 듯하다.
우리나라의 세시풍속에서는 보름달이 가지는 뜻이 아주 강했다. 정월대보름이 우선 그렇고, 다음의 큰 명절이라고 할 수 있는 추석도 보름날이다.
한반도 북부에서는 단오가 큰 명절이기도 했으나 중부 이남에서는 7월 보름인 백중보다도 비중이 작았다. 중부 이남에서는 단오를 그렇게 큰 명절로 여기지 않았다. 씨름판이나 그네, 또는 백중 장(場) 같은 세시풍속 행사들이 단오보다는 7월 보름에 성행했다. 이는 단오 때는 1년 농사 중 제일 큰일의 하나인 모내기가 아직 끝나지 않은 바쁜 때이고, 백중 때는 김매기도 다 끝나고 가을 추수만을 남긴 한가한 시기라는 농사관계와도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결과다.
‘달은 물의 여신’ 농경문화와 밀접
대보름은 상징적인 측면에서 달, 여성, 대지의 음성원리(陰性原理)에 의한 명절로 달은 곧, 물의 여신이므로 대보름과 농경문화는 밀접하다.
태양이 양(陽)이며 남성으로 인격화되는데 반해 달은 음(陰)이며 여성으로 인격화된다. 그래서 달의 상징구조는 여성, 출산력, 물, 식물들과 연결된다. 여신은 대지와 결합하며, 만물을 낳는 지모신(地母神)으로서 출산력을 가진다. 대보름은 풍요의 상징적 의미로 자리매김해왔다.
전체 풍속 중 4분의 1 차지 ‘풍성’
대보름날의 각종 풍속은 전체 세시풍속 중 4분의 1이 넘을 정도로 풍부하다. 설 풍속을 합치면 전체의 절반이 넘는다. 이것은 정초와 대보름 명절이 우리 민속에서 중요한 비중을 가지고 있고 동시에 상호 유기성을 가지기 때문에 정월 중에 많은 세시행사가 모여 있다.
정월에 드는 설과 대보름은 상호보완적으로 설날이 개인적, 폐쇄적, 수직적이고 피붙이의 명절임에 반해 대보름은 개방적, 집단적, 수평적, 적극적인 마을공동체 명절로 두 관념이 교차한다. 우리 세시풍속에서 달이 차지하는 비중은 태양의 비중이 문제되지 않을 만큼 강하고 큰 것이었다. 따라서 일반 세시풍속에서는 여전히 달의 비중이 결정적이었고, 대보름은 바로 그 대표요, 상징적인 날로 여겨져왔던 것이다.
日 공휴일. 中 8대축일 지정 ‘역법의 흔적’
이웃 나라들과 비교해보면 상원은 중국에서도 한나라 때부터 ‘8대축일’(八大祝日)의 하나로 중요하게 여겼던 명절이었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대보름을 소정월(小正月)이라 부르며 지금은 양력화하고 있음에도 이날을 국가공휴일로 지정하고 있다.
일부의 북유럽 나라들의 민속에서는 1월 14일을 1년의 마지막 날이라는 사투리로 부르고 있는데, 이는 대보름날을 신년 제1일로 삼았던 오랜 역법의 잔존이라고 할 수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