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칼럼] 고유놀이에서 과학읽기

  • 오피니언
  • 독자 칼럼

[사이언스 칼럼] 고유놀이에서 과학읽기

  • 승인 2006-02-07 00:00
  • 정동찬 국립중앙과학관 과학기술사전시연구팀장정동찬 국립중앙과학관 과학기술사전시연구팀장
설을 지내고 정월대보름까지 세배를 하면서 명절분위기를 즐긴다. 이때가 되면 어른들은 옛 추억에 잠기고 아이들은 타임머신을 탄 것처럼 우리 고유의 정신세계로 빠져들어 간다. 아무리 컴퓨터게임이 좋다하더라도 여전히 팽이치기나 널뛰기, 연날리기, 쥐불놀이 등은 호기심의 대상일 뿐 아니라 즐거운 겨울놀이 그 자체다. 이 놀이들은 농경사회 공동체놀이의 하나요, 건강을 해치기 쉬운 겨울철에 건강을 지켜주는 놀이이기도 했다. 지금은 놀이 공원이나 동산에서 롤러코스터나 해적선, 목마를 타고 즐기지만 우리 고유의 놀이들은 몸을 부대끼고 협동하여 너와 내가 하나가 된다.

교육과 놀이는 하나다. 인류를 놀이하는 인간(Homo Ludens)으로 규정하듯이, 놀이 속에서 자연히 자연의 이치를 깨닫게 된다. 요즈음으로 말하면 과학원리를 놀이 속에서 자연스럽게 체득하는 것이다. 그것이 과학인지 원리인지 구분하여 인식하기 전에 이미 놀이속에 과학이 듬뿍배어 있다.

요즈음의 사고 속에서는 이상한 이야기로 들릴지 모르지만 팽이를 치면서 자이로(Gyro)의 원리와 색의 간접현상을 자연스럽게 익혔다. 자이로의 원리는 회전하는 모든 물체는 평형을 유지하려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자전거를 처음 배울 때 쓰러지는 쪽으로 손잡이를 틀면 다시 바르게 서게 되는 원리다.

이 팽이 속에 담긴 원리가 바로 요즈음 선박이나 항공기의 자동항법장치개발의 뿌리가 되었다. 또한 팽이를 깎아 울긋 불긋한 색을 칠해 돌리는데 이때 빨간색과 파란색을 칠해 돌리면 보라색이 되고 노란색과 파란색을 칠하고 돌리면 초록색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색의 간접현상이다. 팽이를 치면서 과학의 눈으로 바라보면 중요한 과학원리 두 가지를 쉽게 배우고 깨우칠 수 있다. 이처럼 아무리 사소해 보이는 놀이 일지라도 과학의 눈으로 보고 설명을 하면 곧 과학원리가 톡톡 튀어 나온다. 널뛰기에서도 받침점?작용점?힘점을 찾을 수 있어 지렛대의 원리를 찾아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힘껏 튕겨 올라갔다 내려오다 잠깐 멈추는 지점에서 그네와 마찬가지로 무중력 상태를 경험하여 황홀경에 빠져들게 된다.

바람이 세차게 부는 날 흰 구름이 두둥실 떠가는 푸른 하늘에 떠 있는 연은 우주에 대한 상상의 나래를 펴도록 하기도 하지만, 연을 만들 때부터 수학적인 분할을 정확히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연이 바람에 부딪혀 올라가는 바로 그 곳에서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뿐만 아니라 바람의 흐름이 빠른 곳은 압력이 낮아지고 바람의 흐름이 느린 곳은 압력이 높아져 위로 뜨는 양력이 생긴다. 이것이 곧 비행기가 뜨는 원리고 베르누이의 정리라는 사실도 자연스럽게 익힌다.

또한 방패연은 하늘에 글을 쓰거나 무늬나 글씨를 써서 신호를 보낼 수 있었기 때문에 정보통신의 효시라 말할 수 있다. 또한 30cm 정도의 긴자와 10cm정도의 작은 새끼 자를 가지고 노는 자치기는 놀이 속에서 자연스럽게 거리를 가늠하는 척도를 익힐 수 있다. 그리고 제기차기에서는 중력과 포물선의 원리를 찾아 볼 수 있으며, 쥐불놀이에서는 불깡통을 빙빙 돌리면서 원심력과 구심력은 물론이고 불깡통을 앞뒤로 머리위로 던지면서 예각과 둔각?직각??따른 물체의 이동에 대한 과학슬기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윷놀이에서도 별자리나 4계절에 따른 변화의 모습과 디지털의 원리를 고스란히 배울 수 있다.

이처럼 아무리 사소해 보이는 놀이 일지라도 과학의 눈으로 보면 과학의 슬기가 듬뿍 배어있다. 이번 명절기간에는 컴퓨터게임에서 빠져나와 벼 그루터기가 있는 논바닥이나 얼음바닥에서 우리 고유의 놀이들을 신나게 즐기면서 추억도 찾고 동심의 세계, 과학의 세계로 빠져들어 보면 어떨까?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2.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3.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4. 위기 미혼한부모 가정에 3000만 원 후원금 전달
  5.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1.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2. 인천 연수구, ‘집회 현수막’ 단속 시행
  3. 대전교육청 교육위 행감서도 전국 유일 교권보호전담변호사 부재 지적
  4. "행정수도 세종 완성, 당에서 도와달라"
  5.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헤드라인 뉴스


라이즈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 기대·우려 공존

라이즈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 기대·우려 공존

새 정부 '5극 3특' 국가균형발전전략에 따라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라이즈) 사업' 초광역화 개편 가능성에 지역사회에서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사업 수행지역이 시도 단위에서 권역으로 확장되면 지역대학들의 시도 간 협업이 가능해지지만, 공동과제 부담이나 경쟁이 심화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어 초 광역화 개편 시점에 대한 우려가 크다. 기존에 각 시도가 사업 수행 과제를 정하고 대학들이 이에 맞추는 경직된 구조가 이어진다면 권역 단위에서도 공동과제 추진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올해 대전 아파트 청약시장에서는 특정 지역으로 수요가 집중되는 쏠림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입지와 분양가 등 경쟁력을 갖춘 인기 단지가 선별되면서 '옥석 가리기'가 한층 심화되는 분위기다. 1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분양에 나선 '도룡자이 라피크'가 침체된 분양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끌었다. GS건설이 공급한 도룡자이 라피크는 1~2순위 청약에서 214세대 모집에 3636건이 접수되며 평균 16.9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84㎡B형은 59.16 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대부분 1..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2026년 6월 3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이 공천을 위해 모든 당원에게 ‘1인 1표’를 부여하는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에 착수한다. 그동안 대표나 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20:1 미만으로 했던 규정을 개정해 모든 당원에게 투표권을 동등하게 부여하겠다는 것이다. 정청래 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내년 6·3지방선거에서 열린 공천 시스템으로 공천 혁명을 이룩하겠다"며 "19일과 20일 이틀간 1인 1표 시대 당원 주권 정당에 대한 당원 의사를 묻는 역사적인 전 당원 투표를 실시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