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 놀이는 하나다. 인류를 놀이하는 인간(Homo Ludens)으로 규정하듯이, 놀이 속에서 자연히 자연의 이치를 깨닫게 된다. 요즈음으로 말하면 과학원리를 놀이 속에서 자연스럽게 체득하는 것이다. 그것이 과학인지 원리인지 구분하여 인식하기 전에 이미 놀이속에 과학이 듬뿍배어 있다.
요즈음의 사고 속에서는 이상한 이야기로 들릴지 모르지만 팽이를 치면서 자이로(Gyro)의 원리와 색의 간접현상을 자연스럽게 익혔다. 자이로의 원리는 회전하는 모든 물체는 평형을 유지하려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자전거를 처음 배울 때 쓰러지는 쪽으로 손잡이를 틀면 다시 바르게 서게 되는 원리다.
이 팽이 속에 담긴 원리가 바로 요즈음 선박이나 항공기의 자동항법장치개발의 뿌리가 되었다. 또한 팽이를 깎아 울긋 불긋한 색을 칠해 돌리는데 이때 빨간색과 파란색을 칠해 돌리면 보라색이 되고 노란색과 파란색을 칠하고 돌리면 초록색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색의 간접현상이다. 팽이를 치면서 과학의 눈으로 바라보면 중요한 과학원리 두 가지를 쉽게 배우고 깨우칠 수 있다. 이처럼 아무리 사소해 보이는 놀이 일지라도 과학의 눈으로 보고 설명을 하면 곧 과학원리가 톡톡 튀어 나온다. 널뛰기에서도 받침점?작용점?힘점을 찾을 수 있어 지렛대의 원리를 찾아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힘껏 튕겨 올라갔다 내려오다 잠깐 멈추는 지점에서 그네와 마찬가지로 무중력 상태를 경험하여 황홀경에 빠져들게 된다.
바람이 세차게 부는 날 흰 구름이 두둥실 떠가는 푸른 하늘에 떠 있는 연은 우주에 대한 상상의 나래를 펴도록 하기도 하지만, 연을 만들 때부터 수학적인 분할을 정확히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연이 바람에 부딪혀 올라가는 바로 그 곳에서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뿐만 아니라 바람의 흐름이 빠른 곳은 압력이 낮아지고 바람의 흐름이 느린 곳은 압력이 높아져 위로 뜨는 양력이 생긴다. 이것이 곧 비행기가 뜨는 원리고 베르누이의 정리라는 사실도 자연스럽게 익힌다.
또한 방패연은 하늘에 글을 쓰거나 무늬나 글씨를 써서 신호를 보낼 수 있었기 때문에 정보통신의 효시라 말할 수 있다. 또한 30cm 정도의 긴자와 10cm정도의 작은 새끼 자를 가지고 노는 자치기는 놀이 속에서 자연스럽게 거리를 가늠하는 척도를 익힐 수 있다. 그리고 제기차기에서는 중력과 포물선의 원리를 찾아 볼 수 있으며, 쥐불놀이에서는 불깡통을 빙빙 돌리면서 원심력과 구심력은 물론이고 불깡통을 앞뒤로 머리위로 던지면서 예각과 둔각?직각??따른 물체의 이동에 대한 과학슬기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윷놀이에서도 별자리나 4계절에 따른 변화의 모습과 디지털의 원리를 고스란히 배울 수 있다.
이처럼 아무리 사소해 보이는 놀이 일지라도 과학의 눈으로 보면 과학의 슬기가 듬뿍 배어있다. 이번 명절기간에는 컴퓨터게임에서 빠져나와 벼 그루터기가 있는 논바닥이나 얼음바닥에서 우리 고유의 놀이들을 신나게 즐기면서 추억도 찾고 동심의 세계, 과학의 세계로 빠져들어 보면 어떨까?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