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해가 시작되는 첫날인 설은 ‘사린다’, ‘사간다’에서 온 말이다.
조상들에게 설이란 그저 기쁜 날이라기 보다는 한해가 시작되는 만큼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해 조심스럽게 첫발을 내딛는 의미로 받아들여졌다.
그래서 설날은 신일(삼가는 날)이라고 해 이 날에는 바깥에 나가는 것을 삼가고 집안에서 지내면서 일년동안 아무 탈없이 지낼 수 있게 해주기를 신에게 빌어 왔었다.
이날 민가에서는 벽 위에 닭과 호랑이의 그림을 붙여 액이 물러가기를 빌었고, 삼재(三災)를 당한 남,여는 3마리의 매를 그려 문설주에 붙여 그 액운이 떨쳐지기를 바랐다.
북쪽에 병풍 치고 식어도 되는 음식부터 배열
차례상 차리기
민족 고유 명절인 설날에는 조상의 음덕을 기리며 차례를 올리고, 모든 가족이 한데 모여 화목을 다져왔다. 이날 아침에 지내는 차례는 가문마다 집집마다 예절이 조금씩 다르나 향교와 문화재청에서 권장하는 차례상 차리기를 소개해 본다.
차례의 특징은 제사와 달리 축문이 없고 술은 한번만 올리는 단잔으로 한다. 술대신 차를 올리기도 해 제사대신 차례로 불린다. 이날에는 밥대신 떡국을 올린다.
차례상은 북쪽에 병풍을 치고 그 병풍앞에 신위를 모실 교의를 마련한 다음 식어도 괜찮은 음식부터 제물을 차린다.
상은 맨앞줄부터 과일(첫번째 줄), 반찬(두번째 줄), 탕(세번째 줄), 적과 전(네번째 줄), 술잔과 떡국(다섯번째 줄)을 놓는다.
과일은 ‘조율이시(도는 조율시이)’로 왼쪽부터 대추, 밤, 배(사과), 감(곶감)의 순서로 차린다. 그 이외 과일들은 정해진 순서가 따로 없지만 나무 과일, 넝쿨과일 순으로 차린다. 과일 줄의 끝에는 과자(유과)류를 놓는다.
반찬은 ‘좌포우혜’로 왼쪽 끝에는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를 쓰며 오른쪽 끝에는 수정과를 쓴다. 그 중간에 나물반찬은 콩나물, 숙주나물, 무나물 순으로 올리고, 고사리, 도라지나물등을 쓰기도 하며 청장(간장) 침채(동치미, 설명절)는 그다음에 올린다.
탕은 대개 3탕으로 육탕(육류 탕), 소탕(두부 채소류 탕), 어탕(어패류 탕)의 순으로 올리며, 5탕으로 할 때는 봉탕(닭 오리탕), 잡탕등을 더 올린다. 최근들어서는 한가지 탕만 올리기도 한다.
적과 전은 대개는 3적으로 육적(육류 적), 어적(어패류 적), 소적(두부 채소류 적)의 순서로 올린다. 맨 뒷줄에는 술잔과 떡국(설)을 올리는데 앞에서 봤을때 떡국(송편)은 우측에 술잔은 좌측에 차린다.
차례시 유의할 점으로는 차례에는 복숭아, 꽁치, 삼치, 칼치, 고추, 마늘 등은 올리지 않으며 식혜, 탕, 면 등은 건더기만 사용한다.
좌포우혜-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 어동육서- 어류는 동쪽 육류는 서쪽
동두서미- 생선 머리 동쪽 꼬리 서쪽 홍동백서- 붉은 과일 동쪽 흰색 서쪽
조율이시- 왼쪽 부터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