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은희 경제부 기자 |
재래시장의 육성과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것이 취지지만 이미 발족해 활동에 들어간 기존 연합회에 대한 반발, 아니면 다른 목적을 바라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지울 수가 없다.
기존 연합회 역시 새로 구성된 상인연합회에 대한 적법성을 따져 반박에 나서는 등 시장 활성화는 뒤로 한 채 상인들 간의 주도권 다툼에만 여념이 없어 보인다.
양측의 속내를 유심히 들여다보면 재래시장의 전반적인 발전보다는 중소기업청의 재래시장 지원에 따른 수혜에 더 많은 관심이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재래시장 활성화를 기대하는 유통업계 한 관계자가 “대형 백화점과 할인점은 매장과 상품을 수시로 업그레이드하며 숨 가쁘게 질주하는데, 재래시장은 여전히 근대적인 사고방식에 박혀 불만만 토로하고 있다”고 지적한 것을 필자는 잊지 않고 있다.
당시 그는 “정부를 통해 인공호흡을 받고 있는 재래시장이 조금씩 숨을 돌리고 있는 사이 대형 유통업체들은 무서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며 “이대로 가다간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원비도 제 역할을 못 할 수밖에 없다”고 꼬집기도 했다.
대형 유통업체들의 틈바구니에서 재래시장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묘안 찾기에 골몰’해야 한다. 무조건 어려운 재래시장을 찾아 물건을 사달라고 할 것이 아니라 소비자들이 자발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상품과 서비스 등의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재래시장 난제 해결에 전념해야 할 요즘 서로간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집안싸움으로 비춰질 일련의 움직임이 과연 재래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인지 상인들은 곰곰이 생각해 볼 때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