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상배 정치부장(서울주재) |
기존 양당·양강체제 정국에 제3의 정파로서 신당의 정치적 파괴력과 지역적인 장악력은 어느 정도까지 미치게 될까. 비록 군소 정당 가운데 하나이긴 하지만 목전의 지방선거와 후년 대선, 그리고 그 다음해 총선 등 잇단 정치일정을 관통할 성장잠재력은 또 어떠한가. 이런 명운에 달린 관심과 궁금증이 그 실체에 도달하게 된다는 얘기다.
꽃은 훈풍으로 필수 있게 하지만, 열매를 맺기까지는 고통과 인내가 따르게 마련이다. 이같은 일련의 정치일정 속에서 충청지역 정서를 대변할 정치통합체로서 제대로 된 정당하나쯤 갖고자 했던 바람이 그간 외적 조건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이제부터 모든 문제는 내재된 환경 속에서 내부적으로 풀어가야만 할 일들만 남아있다.
신당에 가로놓인 당면한 과제는 말 그대로 스스로 개척하는 일뿐이다. 어차피 지역정서를 겨냥한 정당이라면 적어도 정치 통합과 지역 결속의 과제를 떠 안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럼에도 이는 새롭게 출현할 신당에 대한 기대와 전제일 뿐, 성원과 지지까지 담보할 충분조건으로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꽃이 반드시 열매로 맺어진다는 보장이 없지 않은가.
때문에 통합신당을 꾸리기로 결의한 주체들로서 더욱 긴장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더구나 특정 정파에 대한 흡인력이 절대적이지 못한 지역성향을 주요지지기반으로 삼아야 할 처지다. ‘항일투쟁’이나 ‘우국충절’이란 대승적 명분에 단련되기는 했으되, 근세의 ‘권력투쟁’에 훈련된 유권자들은 더욱 아니다. 신당으로서는 이런 척박한 정치환경이 새삼스런 일이 아닌 것쯤은 잘 알 것으로 본다.
주변상황이 이럴 진대, 창당프로세스를 밟고있는 신당내부가 지나친 낙관론에 사로잡힌 듯 하다. 미급에 닥칠 지방선거와 관련해 이른바 ‘인적배치도’라는 이름으로 떠도는 밑그림은 낭만적이다 못해 매우 코믹하다. 그것도 소속 현역의원들이 공공연하게 거론하고 나선걸 보면, 군불 때기가 아닌가도 생각된다.
물론 신당의 계기모색을 위해 구상해 볼 문제라고는 하지만, 본인들조차 대경실색하는 내용이다. 그럼에도 이런 구상을 제기하는 측에서는 “당사자들도 즐기고 있다”고 주장한다. 우선 차기 대선 드라이브와 18대 총선을 원활히 이끌기 위해서는 신당 간판인 심대평 지사의 현17대 국회 원내진입부터 서둘러야 한다는 논리가 사단을 키우고 있지 않나 싶다. 이를 위한 보궐 요인에 논산·금산·계룡지역구가 거론되고, 해당지역구 이인제 의원이 차기 충남지사카드로 급부상하고 있다. 신당입장에서도 사력을 쏟아야 할 지사자리인 만큼, ‘필승의 카드’라는 것이다.
문제는 논산 축에 그치지 않고, 김학원 자민련 대표지역인 부여 축도 같은 방향의 변화를 꾀할 것이란 억측이 일고 있는데 있다. 9선의 원로정치인이자 정계를 떠난 김종필 전 총재의 최근 지역나들이에 야릇한 눈길이 쏠리고 있다. “힘 닿는 데까지 돕겠다”는 그의 순수한 애정과 열정이 정계복귀와 원내진출로 비쳐지거나 폄훼 되고있는 데 안타까움을 더한다. 통합신당 창당선언 후 겪는 현재의 내부진통과 힘겨루기의 배경에는 이들간의 ‘통합옵션설’로 발전된 괴담 때문이란 관측을 낳고 있다.
정치권에서 냉소적인 불문율하나가 있다. “내일을 얘기한다면 귀신도 웃는다”라고 했던가.
충청권 정치발전을 위해서라면 ‘밀알이 되겠다’ ‘백의종군하겠다’ 하는 등의 성공적인 통합신당 출범을 다짐한 주요인사들의 선공후사(先公後私)의 정신이 어쩌다 서로의 잇속으로 뒤엉킨 볼썽 사나운 지경까지 이르게 됐는지 신당 주요인사들 스스로가 철저한 자기반성과 주변관리에서부터 출발해야만 한다.
신당에는 어떠한 기득권이나 주도권도 있을 수 없다. 신당의 중심이 어느 누구라야만 할 이유도 없다. 어떠한 불편부당(不偏不黨)도 깨치고, 국민우선의 가치추구에서 창당작업이 추진될 때 비로소 국민적 신뢰와 지역주민의 지지를 모을 수 있다. 국민중심당이 주창하는 가치 지향점도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 아닐까.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