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족국가 때부터 만들어 먹은 것으로 전해져오는 떡은 우리 민족의 음식문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고유의 전통음식으로 우리 역사와 함께한 우리 고유의 대표적인 전통음식 중의 하나다. 옛날에는 ‘밥 위에 떡’이란 속담이 있었을 만큼 별식으로 꼽혀 왔다. 우리 떡의 시대적 변천을 살펴보았다. <편집자 주>
떡먹는 절식풍속 역사기록에 나타나 삼국시대 이전 부족국가 때부터 전래
고려 飮茶풍속 유행… 떡 발전 계기 조선, 야생초·꽃 첨가로 ‘각양각색’
<삼국시대>이전 시루·갈판·갈돌 등 유물 출토
대부분의 학자들은 삼국이 성립되기 이전인 부족국가 시대부터 떡을 만들어 먹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시대에 떡의 주재료가 되는 곡물이 생산됐고, 떡을 만드는데 필요한 갈판과 갈돌, 시루가 당시의 유물로 출토되고 있기 때문에 학자들은 떡을 만들어 먹은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황해도 봉산 지리탑의 신석기 유적지에는 곡물의 껍질을 벗기고 가루로 만드는데 쓰이는 갈돌이, 경기도 북변리와 동창리의 무문토기시대 유적지에서는 갈돌 이전 단계인 돌확이 발견된 바 있다. 그리고 나진 초도 조개더미에서는 양쪽에 손잡이가 달리고 바닥에 구멍이 여러 개 난 시루가 발견되기도 했다.
여기서 곡물을 가루로 만들어 시루에 찐 음식이라면 ‘시루떡’을 의미하며, 따라서 우리 민족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시루떡 및 인절미, 절편 등 도병류를 즐긴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벽화, 삼국사기 통해 유래 볼수 있어
삼국시대를 거쳐 통일신라시대에 이르게 되면 쌀을 중심으로 한 농경이 더욱 발달하게 되면서 쌀을 주재료로 하는 떡이 더욱 일반화되었다.
고구려 시대 무덤인 황해도 안악의 동수무덤 벽화에는 시루에 무엇인가를 찌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한 아낙이 오른손에 큰 주걱을 든 채 왼손의 젓가락으로 떡을 찔러서 잘 익었는지를 알아보는 듯한 모습이다.
또 ‘삼국사기’를 살펴보면, 신라본기 유리왕 원년(298년)조에는 유리와 탈해가 서로 왕위를 사양하다 떡을 깨물어 생긴 잇자국을 보아 이의 수효가 많은 자를 왕으로 삼았다는 기록이 있다. 성스럽고 지혜있는 사람이 이의 수효가 많다고 여겨 떡을 씹어서 시험한 결과 결국 유리가 이가 많아서 왕이 되었다는 것이다.
또 같은 책 백결선생조에는 신라 자비왕대(458~479년) 사람인 백결선생이 가난해 세모에 떡을 치지 못하자 거문고로 떡방아 소리를 내어 부인을 위로한 이야기가 나온다.
깨물어 잇자국이 선명히 났다든지 떡방아 소리를 냈다든지 하는 기록으로 보아 여기서 말하는 떡은 찐 곡물을 쳐서 만든 흰떡, 인절미, 절편 등 도병류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백결선생이 세모에 떡을 해먹지 못함을 안타깝게 여겼다는 기록은 당시에도 이미 연말에 떡을 먹는 절식 풍속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고려시대>불교 전성기로 과정류·떡 절로 발전
삼국시대에 전래된 불교는 고려시대에 이르러 최고의 전성기를 맞게 된다. 불교문화는 고려인들의 모든 생활에 영향을 미쳤고 음식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
육식을 멀리하고 특히 차를 즐기는 음다 풍속의 유행은 과정류와 함께 떡이 더욱 발전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여러 기록에 등장하는 떡의 종류들을 한번 살펴보면 대략 이렇다.
중국의 ‘거가필용’에 ‘고려율고’라는 떡이 나오는데, 한치윤의 ‘해동역사’에도 고려인이 율고를 잘 만든다고 칭송한 견문이 소개되고 있다. 율고란 밤가루와 찹쌀가루를 섞어 꿀물에 내려 시루에 찐 일종의 밤설기다.
이수광은 그의 저서 ‘지봉유설’에서 ‘상사일에 청애병을 해먹는다’고 하였다. 어린 쑥잎을 쌀가루에 섞어 쪄서 만든다고 하였으니 쑥설기인 셈이다. 이 외에도 송기떡이나 산삼설기 등이 등장한다.
<조선시대 >궁중·반가 중심으로 발달
조선시대는 농업기술과 조리가공법의 발달로 전반적인 식생활 문화가 향상된 시기다.
이에 따라 떡의 종류와 맛도 더 한층 다양해졌다.
특히 궁중과 반가를 중심으로 발달한 떡은 사치스럽기까지 했다. 처음에는 단순히 곡물을 쪄 익혀 만들던 것을 다른 곡물과의 배합 및 과실, 꽃, 야생초, 약재 등의 첨가로 빛깔, 모양, 맛에 변화를 주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관혼상제의 풍습이 일반화돼 각종 의례와 크고 작은 잔치, 무의 등에 떡이 필수적으로 쓰였다. 또 고려시대에 이어 명절식 및 시절식으로의 쓰임새도 증가했다.
이때 주로 만들어진 서기떡류로는 기존의 백설기, 밤설기, 쑥설기, 감설기 외에 석탄병, 잡과점설기, 잡과꿀설기, 도행병, 꿀설기, 석이병, 괴엽병, 무떡, 송기떡, 승검초설기, 막우설기, 복령조화고, 상자병, 산삼병, 남방감저병, 감자병, 유고, 기단가오 등이 등장했다.
‘메밀가루를 꿀물에 타서 죽처럼 하여 질그릇 항아리에 넣어 입구를 단단히 봉하고 겨불 속에 묻는다’고 하여 제법이나 재료가 다른 떡들과 구별되고 있다. 찌는 떡뿐만 아니라 치는 떡도 다양하게 발전하였다. 인절미는 찹쌀을 쪄서 치는 단순한 형태였으나 점차 쑥, 대추, 당귀잎을 넣고 쳐서 색다른 맛을 음미하게 됐다.
또한 조인절미라해 처음부터 찹쌀에 기장조를 섞어 찌기도 하였다.
‘긴 다리같이 만든 떡(‘동국세시기’ 1849년)’이었던 흰떡은 ‘손가락 두께처럼 하여 한 치 너비에 닷푼 길이로 잘라 (‘음식방문’ 연대미상)’ 만든 골무편이나 산병, 환병 등으로 여러 가지 모양을 가지게 됐다.
<근대이후>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70여종 소개
19세기말 이후 진행된 급격한 사회 변동은 떡의 역사마저 바꾸어 놓았다.
산식이자 별식거리 혹은 밥 대용식으로 오랫동안 우리 민족의 사랑을 받아왔던 떡은 서양에서 들어온 빵에 의해 점차 식단에서 밀려나게 되었다. 또한 생활환경의 변화로 떡을 집에서 만들기보다는 떡집이나 떡방앗간 같은 전문업소에 맡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떡은 아직도 중요한 행사나 제사 등에는 빠지지 않고 오르는 필수적인 음식이기도 하다. 이 시기에는 시루떡류의 경우 콩을 섞어 만든 콩버무리떡, 콩설기, 콩시루편, 쇠머리떡 등이 서민들이 즐겨 해먹던 떡이었다. 특히 인절미는 찰밥을 지어 쳐서 만드는 법과 찹쌀가루를 쪄 쳐서 만드는 두 가지 방법이 함께 이용되어 왔으나 근대 이후에는 간편한 후자 방법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1943년)에서는 70여종의 다양한 떡이 소개되는데 토란을 말려서 가루내어 찌거나 송편으로 만드는 토련병, 백합뿌리를 섞어 찌는 백합떡, 여러 가지 약재를 섞어 만든 신선부귀병, 흔떡, 북떡, 석류, 수수거멀제비 등 특이한 이름의 떡들이 소개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