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3년간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 감소폭이 미국이나 이탈리아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 3~8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합계출산율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이유는 결혼을 안하거나 늦게하는 경향이 일반화된데다 주 출산인구마저 감소세로 전환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은 2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출생아수 감소요인 분석자료’를 발표했다.
▲출산력 감소폭 선진국의 3~8배=우리나라의 여성 1명이 가임기간에 낳는 평균 출생아수의 합계인 합계출산율이 1970년 4.53명에서 2003년 1.19명으로 33년간 3.34명이 줄었다.
반면 미국은 같은 기간 2.46명에서 2.04명으로 0.42명이,프랑스는 2.47명에서 1.89명으로 0.58명이,독일은 2.03명에서 1.34명으로 0.69명이 각각 줄었다.
우리나라의 작년 출생아수는 47만6000명으로 1970년의 절반 이하 수준으로 떨어졌다. 합계출산율도 2.08명을 기록했던 1983년 수준이 인구 재생산을 위해서는 가장 적절한데도 역시 급감해 지난해 1.16명에 이르렀다.
▲늦은 결혼·주출산 여성인구 감소=우리나라의 출산력이 급감하는 요인으로는 결혼을 늦게 하거나 안하는데다 결혼을 하더라도 아이를 안 낳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게다가 25~34세의 주 출산여성 인구가 1999년을 정점으로 줄어들고 있다는 것도 출산력 저하에 일조를 하고 있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