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이러한 여건에도 불구하고 대전은 광역시 분리 이후 제조업 비중이 줄어드는 대신 서비스업 중심의 산업구조가 고착되면서 1인당 GRDP 성장률이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의 분석에 따르면 대전경제의 성장 약화는 서비스업 중심의 산업구조와 깊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은 지역총생산의 70%를 차지하고 있으나 도소매나 음식·숙박업 같이 부가가치가 낮은 단순소비성 업종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데다 소프트웨어나 전자상거래 같은 지식기반 서비스업도 여타 지역에 비해 뚜렷한 우위를 보이지 못하고 있어 지역경제의 성장을 이끌기에는 역부족이다.
한편 제조업은 매출구성에 있어 내수가 수출보다 월등히 높은 구조적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대덕연구단지를 중심으로 연구개발 역량이 축적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담배나 음식료처럼 기술집약도가 높다고 볼 수 없는 산업의 비중이 절반을 넘어서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2000년대 들어 첨단기술산업의 비중이 늘어나면서 GRDP 성장률이 전국보다 높아지고는 있으나 성장 동력을 창출할 새로운 산업의 출현이 절실한 실정이다.
바야흐로 지식기반경제에서는 생산요소의 투입보다는 기술과 혁신이 생산성 향상의 원천이 되고 있다. 따라서 대전경제의 장기적인 성장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대전경제의 성장을 주도할 첨단제조업을 육성해야 할 것이다. 정부와 대전시는 정보통신, 바이오, 첨단소재·부품, 메카트로닉스 등 4대 전략산업을 선정하여 차세대의 성장엔진으로 삼으려 하고 있는데 이는 매우 적절하다고 하겠다. 이들 산업은 비교우위를 확보한 분야를 중심으로 혁신 클러스터의 구축 등을 통하여 집중적으로 육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R&D전문기업의 설립을 적극 지원하고 제조업 지원효과가 큰 금융·광고 등 사업서비스업의 육성을 도모하는 등 서비스업의 구조고도화도 병행 추진해야 하겠다. 또한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에 발맞추어 엔지니어링과 같은 건설관련 서비스를 개발하고 인구의 유입에 대비하여 문화와 교육서비스도 선제적으로 육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아울러 지리적 이점을 이용할 수 있는 컨벤션산업과 관광·레저산업의 발달을 촉진하고 이와 연계하여 음식점과 숙박업의 고급화, 그리고 소매점의 대형화 등을 유도할 수 있는 종합적인 정책대안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충남·북과의 광역경제권 구축에도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최근 충남과 경기도의 경제적 연계성이 가속화되고 있는데 이를 방치하면 충청 북부지역은 수도권에 빠르게 흡수되고 대전은 대량생산 공간이 부족한 도시경제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채 소외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을 유념하여 대전에 축적된 과학기술이 충남·북으로 스며들도록 하는 동시에 대기업의 본사와 연구시설을 적극 유치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사업서비스를 확대해 나간다면 대전은 청정하면서도 소득수준이 높은 이상적인 도시로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