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상배 정치부장 서울주재 |
뿐만 아니라, 오늘날 권좌에 오르기까지 일관되게 걸어온 그의 정치노선이나 국정철학을 보더라도 권모나 술수가 담긴 ‘꼼수정치’로 의심할 여지가 없어 보인다. 다만 국가최고통수권자가 갖는 고뇌와 순수함으로 받아들여질 뿐, 손해날 일은 아니라는 것이 대통령 주변의 사고다. 이원집정제의 전 단계인 책임총리제가 사실상 작동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참에 개헌을 통한 ‘정·부통령제’ 또는 ‘내각제’까지도 밀어붙였으면 싶은 것이 집권세력 내부의 심정일 것이다.
연정논의가 활화산일지, 휴화산일지 아니면 사화산으로 이미 끝난 얘기인지 집권세력 내부에서 조차 최근 혼선이 일고 있다. 집권당 대표인 문희상 당의장은 약자논리로 비칠 수 있다는 판단에서 “재론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으나 청와대측은 “그렇지 않다”는 반응이다. 잠복성 이슈로 언제고 꺼내들 국면전환용 카드로 움켜쥘 속셈인 듯 하다.
하지만 대연정,소연정 그 어디에도 충청 정치권에 대한 고려나 배려는 전혀 없다는 사실이 충청도민의 시각에서는 보다 중요한 사건이다. 지역구도 타파를 위한 ‘연정제의’의 최대 파트너가 바로 영남권을 절대지지기반으로 삼고있는 한나라당이다. 이를 제의한 노 대통령 역시 호남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대권의 꿈을 이룬 호남이 산실인 이해당사자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영·호남 두 축의 정치세력간에 그들만의 대 타협시도라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동서 두 축의 거대 정치세력에 대한 외적 입장에서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사실은 ‘양극의 정치’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작금 지역패권 정치구도를 깨기 위한 노 대통령과 집권세력의 고뇌와 노력이 말과 같지 않았다는 점이다. 바꿔 말해, 그간 참여정부에서 진행돼온 국정운영과 정치현실과도 크게 동떨어진 감이 없지 않다는 것이다. 지역구도 타파를 위한 연정제의가 과연 누굴 위한 정치이며, 그들만의 정치를 위한 것이 아닌가 반문하지 않을 수 없다.
얼마 전, 노 정권의 창업공신으로 열린우리당내 몇 안 되는 중진인 김원웅 의원이 이른바 참여정부의 ‘신지역주의’를 신랄히 비판한 적이 있다. 한마디로 “참여정부 출범이후 ‘영남달래기’와 ‘호남챙기기’가 극에 달해 충청권 소외감이 갈수록 깊어졌고, 그런 공허감에서 ‘충청신당’이라는 출현 당위성과 필연적 결과를 낳게 했다”고 고백했다. 이어 그는 “3김시절, 지역할거주의를 비난할 때도 영·호남,그리고 충청의 순서는 있었으나 지금은 그나마 영·호남이외에 기타지역으로 묻혀버렸다”며 지역 홀대문제를 적극 거론하기도 했다. 집권당 중진의원으로서 갖는 책임감과 자성론을 통해 각종 시혜성 정책과 인사횡포의 정도가 얼마나 지나쳤는지를 가늠케 한다.
정작 이런 지역적 아픔을 딛고 일어서고자 하는 신당과 자민련측의 정치통합 세력구축작업이 여전히 신통치 않다. 결국 살림을 합쳐 통합신당을 꾸리라는 것이 지역민의 지상명령이자 최대과제이다. 여기에 무슨 까다로운 전제가 따르고, 복잡한 계산이 있을 수 있느냐는 것이 지역민의 엄명이다. 기득권과 주도권 다툼으로 비쳐질 수밖에 없는 양측의 지리한 줄다리기는 자칫 그들만의 ‘정치공상’에 그칠 공산도 높다. 강한 기대속엔 그이상의 냉소와 외면이 도사리고 있다는 사실을 가장 경계해야 할 대상이기 때문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