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자원의 중요성은 `2005 산업혁신포럼`에서도 잘 나타났다. 앨빈 토플러 박사는 급변하는 세계적 흐름에 능동적인 대처를 위해 ‘창의적 인재양성과 교육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문국현 유한킴벌리 사장은 “미래의 성공여부는 창의적 개인을 통해 창출되는 새로운 가치여하에 달려있다”고 말하고 “재교육과 평생학습체제가 마련돼야 새로운 흐름에서 뒤처지지 않을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런 의미에서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도 경쟁력 제고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제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우리의 중소기업은 여러 제약으로 인해 현실은 그렇지 않은 듯하다. 중소기업의 인력구조는 단순노무·기능직이 59%인 반면 전문가나 기술직은 14%에 불과하다. 이는 산업사회형 구조로 지식기반경제하에서 고부가가치 창출은 어려운 인력구조이다. 또한 본회가 지난 9월 발표한 ‘중소제조업 인적자원실태조사’결과에 따르면, 75.8%의 중소기업이 인적자원개발의 중요성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인적자원개발관련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곳은 59.7%에 불과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71%가 매출액대비 교육훈련투자비율이 0.05%이하로 교육투자비중이 극히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자원개발 투자부진은 중소기업의 성장성 약화와 대기업과의 격차 확대라는 문제를 노정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노동생산성의 경우 2004년 기준 대기업은 155.5%였지만 중소기업은 113.3%에 불과했다.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의 경우 2002년 대기업은 1억8800만원이었으나 중소기업은 6100만원으로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중소기업의 기술수준은 세계최고 수준대비 73.6%에 불과했고, 전문기술인력 부족률은 평균 20.9%에나 달해 성장동력이 침체되어 있다.
사실 중소기업은 계속되는 경기침체로 인해 채용여력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자체 인력개발 역량도 부족하다. 또한 그동안 업종별 성장 추세와 중소기업계 특성 등을 반영한 정부의 인적자원개발지원도 미흡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인적자원에 대한 노동시장 진입 후 지속적인 투자수준은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이다. 주로 인적자원 개발이란 것이 학령기 교육투자 위주가 전부였던 것이다.
무한경쟁의 글로벌 지식경제시대는 인재를 얼마나 확실하게 유지·양성하느냐가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한다. 따라서 정부가 시범운영중인 인적자원개발인증제도가 대기업 위주가 되지 않도록 보완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회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만든 중소기업인력지원특별법을 통해 중소기업의 인력구조고도화 사업 등 인적자원개발 사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교육훈련 소요경비 보조 및 세액공제, 지역 대학과 중소기업간 맞춤형 교육을 활성화할 필요도 있다. 중요한 것은 법과 제도의 완비가 아니라 효율적인 집행과 확인에 있으며 중소기업의 적극적인 관심과 실천이 필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