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엑스포 재단이 소유하고 있던 자산을 바탕으로 설립된 엑스포 과학공원은 현금자산 980억원을 포함해 자산규모가 3910억원(부채 22억원, 자본금 3888억원) 정규직 직원 101명을 가진 적지 않은 조직으로 시작했다.
그러나 관람객수의 급격한 감소로 2003년 매출액이 56억원에 당기순손실 405억원, 2004년은 45억원 매출액에 당기순손실 122억원을 기록했다. 그 결과 2004년말 현재 누적 결손금 합계가 804억원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영업실적은 이미 지방공사로서 엑스포 과학공원의 경영능력이 한계에 달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얼마전 대전시는 대전시 관료 출신을 제4대 사장으로 임명해 엑스포 과학공원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현재와 같은 여건에서 엑스포 과학공원의 운영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흑자경영으로 돌릴 수 있다고 보는가? 필자의 생각으로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엑스포 과학공원을 이끌고 가야 할 것인가? 현재와 같은 지방공사 체제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면 방법은 오히려 간단하다.
즉 우리나라 국민들에 대한 과학교육 체험공간으로 과학공원의 설립취지를 제대로 살리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에 넘겨서 대대적인 투자와 전문경영을 하도록 하는 것이 첫째 방법이다.
엑스포 공원을 활성화기 위해서는 앞으로 몇 년간 매년 수백억원의 투자가 필요하고 전문적 지식과 경험이 필요한데 현재의 지방공사 체제로는 그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둘째로 공기업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현재의 지방공사를 청산하는 방법이다. 지방공사의 청산을 전제로 하면 다시 두가지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국책사업으로 투자가 가능한 일부 전시관을 제외한 나머지 건물을 철거해 완전히 시민공원화 하는 것이다.
이방법은 철거와 시민공원화에 일부 비용이 소요된다 해도 이후의 관리비용이 적게 들며 시민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또다른 하나는 현재의 상태대로 엑스포 공원 전체를 자본력과 전문성을 갖춘 민간기업에게 매각해 개발케하는 방법이있다. 현재 엑스포 과학공원의 자산가치가 얼마나 되는지는 정확한 실사를 통해 알수 있겠지만 대전시로서는 재정적 부담을 지지 않고 혹을 떼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어떠한 방법을 선택하든 엑스포 과학공원을 지방공사화하기로 한 초기의 결정오류와 그 이후의 관리능력 부족에 대한 책임은 남는다. 창의력과 전문성이 요구되는 테마파크를 운영하는데 있어 지방공사는 처음부터 잘못된 선택이었다.
공기업은 공익성과 수익성이 조화를 이루면서 운영돼야 한다. 그러나 아무리 과학교육 체험학습장으로 공익성이 강조된다 하더라도 일년에 150억 이상의 적자를 내는 공기업은 이미 기업이 아니다. 지금과 같은 여건에서 몇 개 전시관을 철거하고 몇십억의 예산을 들여 약간의 시설개관과 몇몇 이벤트 행사로는 밑 빠진 독에 물을 붓는 것과 다름없으며, 멀지 않은 장래에 그나마 갖고 있는 모든 자본을 잠식하고 껍데기만 남은 상태로 파산할 것이 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