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희 중부발전 관리본부장 |
그나마 우리나라 전력부문은 준 국산 에너지인 원자력이 국내 전력 생산량의 40%를 담당하고 있으므로 급격한 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저렴한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어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지난 30년간 신규 원전을 추진하지 않았던 자원 부국인 미국에서 최근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신규 원전 건설을 선언한 이유도 원자력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바탕에 두고 있다.
한편, 지난 8월 31일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원전수거물관리센터(원전센터) 유치신청을 마감한 결과 경주, 포항, 군산, 영덕에서 유치를 신청했다. 이에 따라 최장기 미해결 국책사업으로 기록되고 있는 원전센터 건립문제가 이번에는 해결될 수 있을 지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돌이켜보면 원자력은 지난 20여 년간 저렴하고 안정적인 전력생산으로 국민경제에 큰 몫을 담당하며 국가 에너지안보의 첨병 역할을 해왔다. 또한, 원자력 발전은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거의 없는 청정 에너지원으로 지구온난화 문제의 적합한 대안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우리는 원자력을 이처럼 유용하게 사용하면서도 그 부산물을 안전하게 처분하는 시설인 원전센터를 건립하지 못한 채 많은 시간들을 흘려보낸 셈이다.
이렇듯 원자력 발전은 에너지안보, 기후변화 협약에 대한 대처 및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부존자원이 없는 우리나라의 현 시점에서는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에너지다.
이제 원자력의 유용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원전센터의 성공적 건립에 온 국민이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지금 건립을 추진중인 원전센터는 원자력발전소의 중·저준위 수거물을 보관하기 위한 시설이다. 그 안전성은 프랑스, 일본 등 많은 나라에서 입증되어 운영 중에 있다.
게다가 유치지역에 대한 경제적 지원은 물론 주민 의견수렴 절차도 특별법으로 보장하고 있으며, 주민투표를 거쳐 찬성률이 가장 높게 나온 지역을 후보지로 정한다고 한다. 4곳의 지자체에서 원전센터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게 된 배경도 그만큼 주민의 신뢰가 형성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에너지 문제는 교육 문제와 더불어 국가의 백년대계라 한다. 그만큼 이번 원전센터 입지 결정이 그동안 우리 사회의 시행착오와 갈등을 말끔히 씻고 국책사업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담아내는 시금석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