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은 바로 ‘먹고사는 것’을 바탕으로 하는 산업이다.
기계화 문명의 발달과 외국문물의 도입에 따라 다양한 산업들이 등장했고 이에 따라 우리의 식생활 형태도 많이 변화했다. 또, 외국 농산물들의 수입은 우리 농업의 규모를 점차 줄여나갔고 급기야는 농민들이 설 땅마저 없어져 가고 있는 게 현실이다.
얼마 전 국회 비준절차를 마친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이나 곧 시작될 중국 쌀 수입개방 등 우리 농촌이 처한 환경은 그야말로 절체절명의 위기에 놓여 있다. 그저 농사짓는 일을 천직으로 알고 평생을 농사만 지으며 살아온 대다수의 농민들을 보고 있노라면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
수많은 미래 학자들은 미래는 식량이 지배한다고 말하고 있다. 세계적인 식량 및 환경문제 연구기관인 월드워치(world watch)연구소는 ‘식량안보가 국가안보보다 중요하며, 식량확보에 실패한 나라는 정부 존립기반마저도 위태롭게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식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잘 보여 주는 대목으로 이러한 이유로 선진국들은 식량을 자급해 식량안보를 확고히 하고 있다. 호주의 경우 곡물자급률이 273%, 프랑스 176%, 캐나다 142%, 독일 132%, 미국 127%등 일본, 스위스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100%가 넘는 식량자급률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현실은 어떠한가. 2004년 현재 식량자급률이 중량 기준으로 25.3%수준으로 하루 세끼 중 두 끼 이상을 외국에 의존하고 있는 셈이다. 이런 현실 속에 우리 농민들이 농업에 회의를 느끼고 농촌을 떠난 다면 정말 우리의 밥상은 철저하게 외국에 의존하는 그야말로 선진국의 식량식민지가 될지 모른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 국민들이 농민을 위해 나서야 할 때다. 농업을 지켜 식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농촌을 유지하여 국토를 균형 있게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우리 국민 모두가 농업발전에 대해 공감대를 가져야 한다.
사회지도층은 농업, 농촌에 대한 관심과 왜 우리 농업, 농촌을 지켜야 하는 지 국민들에게 소상히 알려주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특히, 언론은 농촌에 대한 올바른 기사를 많이 실어 국민들이 농촌의 실상을 제대로 알게 해야 할 것이다.
학교 교육도 학생들에게 올바른 농업관을 심어 주는데 일익을 담당해야한다. 교과서에 농업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내용을 다루고, 농촌체험학습 같은 프로그램을 정규교육과정으로 편성해 아이들이 올바른 정서를 함양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농업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은 농민의 몫만은 아니다. 식량 안보와 식생활의 자급자족 차원에서 어느 산업보다 비중 있게 국가 정책으로 다뤄져야 한다. 만약 지금 당장 농업이 필요치 않다고 해서 방치한다면 이는 곧바로 국가적인 재앙으로 부메랑이 되어 올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