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사람이 모여 살다보면 서로 이해가 충돌하는 경우가 필연적으로 생겨난다. 평화롭고 공평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인간생활을 공통적으로 규제하는 생활의 준칙이 있어야 하는데 이것을 사회규범이라 하고, 그것에 따라 생활하고 행동하는 것을 질서라고 한다.
사회규범에는 법 이외에도 도덕. 종교. 관습과 같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문명이 발달하지 못한 미개발사회에서는 사회규범이 미분화상태였으나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그 구분이 명확해졌고 법은 국가권력을 배경으로 강제력을 가진 규범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사회규범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질서라고 한다면 질서에는 법질서를 비롯하여 도덕질서가 있고 경제질서 등 사람이 함께 공존하는 사회에는 여러 가지 질서가 있게 마련이다.
질서에는 남녀. 부부간의 질서, 가족간의 질서, 이웃간의 질서, 직장의 질서 등이 있고 교통질서 행락질서와 같은 공중질서까지를 총망라하는 것이다.
질서중에서 일상생활이 가장 초보가 되고 기본이 되는 질서 예컨대 줄서기질서, 교통질서, 행락질서 등 공도생활의 기초질서가 무너진 사회에서는 법질서를 찾기가 어렵고 건전한 사회기강을 기대할 수 없다.
어떻게 생각하면 너무 사소한 것 같으나 기초질서가 무너지면 사람은 불안을 느끼고 불편해지는 것이다.
줄서기가 보편화되어 있는 선전사회에서 새치기를 하는 것은 감히 생각지도 못하는 비도덕적 행위로 인식된다.
당초 줄서기에 익숙지 못한 우리에게는 줄서는 것이 우선 점잖은 체면에 창피하고 자신이 무력해서 특혜를 받지 못하고 줄서기 대열에 끼여있는 것이 아닌가하고 갈등을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또 사정은 급한데 볼일을 언제 볼 것인가 초조 속에서 ‘빨리빨리병’이 발동하여 자기우선주위가 줄서기를 무너뜨리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승차권 매표창구, 버스. 택시승강장. 공중이 모여서 일처리하는 관공서, 은행 등 모든 곳에서 줄서기만 철저히 이행된다면 여타의 질서는 자연히 잘 지켜질 것이다.
줄서기는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공정하게 선진문화생활을 영위해 가는 시민간의 기초예절이기 때문에 그것은 남을 위한 것이 아니라 나를 위하여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의식이 행동으로 나타나야 한다.
질서지키기는 변칙이 통하지 않는 정칙(正則)사회로 가는 기초단계라고 할 수 있다. 바르게살기운동에서는 매월 1일과 15일을 기초질서의 날로 정해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