념이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인체에 퍼져 있는 경락과 경혈에 나타나는 반
응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몸의 건강 상태나 질병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경락 경혈의 개념이 경험적이고 철학적인 관점을 포함한 형이상학적 관점에서
서술되어 있어서 과학적 근거가 미흡하여 그 치료 기전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1998년 조장희 박사가 침자극에 대한 뇌의 시각영역 반응을 fMRI로 관찰한 연구 내용
을 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PNAS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에 발표한 이후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측정하여 침구 치료기전을 밝히려는 노력들이 전 세계적으로 계속되어 왔다.
우리나라도 다양한 뇌 기능 연구에 fMRI를 이용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뇌 연구
를 통한 신경과학적 접근 방법은 최근 들어 의과학의 큰 분야로 자리잡고 있어 한의학
의 침구 치료 기전의 연구 방법에도 그 활용이 꾸준히 연구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fMRI는 측정시 일어나는 소음으로 인한 자극과 작은 측정 공간으로 이동되는
순간 느껴지는 긴장감에서 오는 불안감, 그리고 정밀한 해상도를 얻기 위해 고출력의
RF(Radio Frequency)가 가해지고 측정하는 시간이 다소 길어 시간 분해능이 다른 영
상 장비에 비해 떨어지나 MRI를 통해 얻어지는 높은 해상도의 해부학적 영상을 통해
뇌의 활성화 부위에 대한 자세한 해석을 할 수 있다.
MEG/MCG를 이용하여 생체 자기를 측정하여 경락 경혈의 특이성을 연구하는 방법도
시도되어지고 있다.
인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수 pT∼ 수백 pT 크기의 자기신호를 고감도 자장센서인
SQUID를 사용함으로써 측정이 가능하다. 우수한 시간 및 공간분해능을 바탕으로 뇌 또
는 심장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활동전류의 미세한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MEG는 비접촉식으로 fMRI와 같은 소음과 RF와 같은 외부 자극이 없기 때문에 비침
습적이며 ms 단위의 시간분해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첨단 의료 영상장비를 통한 인체의 관찰은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다른 측
정과는 달리 비파과적이고 실시간으로 인체의 기능변화, 특히 뇌의 활성화 부위를 관찰
할 수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침구 치료기전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그 활용도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침구 기전을 연구하는 다양한 방법 중 신경과학적 방법으로 접근해야 하는 필요
성에 신경과학자, 한의사, 의공학분야의 학자들이 공감하고, fMRI, MEG 등을 이용하여
뇌의 활성화에 따른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우리 뇌의 활성화 부위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첨단 연구 기법들을 활용해 한의학적으로 가장 큰 화두에 있는 경락경혈에 대
해 객관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여러 분야의 학자들이 의견을 모으고 협력 모색이 시급하
다고 할 수 있겠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